Q. 치아의 금이 갔다는 진단을 건강검진에서 받았습니다. 크라운 치료를 해야하는고 하는데 치료기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치아는 엄밀히 따지면 소모성이예요. 씹는데 쓰다가 많이 썩거나 깨지면 고쳐쓰고, 고쳐쓸 수 없을 정도가 되면 발치하는 그런 과정을 거쳐요.우리 입속에 있는 영구치 중에 제일 오래 된 것은 만 6세에 맹출을 해서 오랜 시간동안 강한 힘과 온도자극을 견디게 되는데 그러면서 서서히 닳고 금이 가다가 깨지기도 해요.아마 금간치아 없는 사람 한명도 없을꺼예요~그런데 금간 치아는 무조건 크라운을 씌워서 치료를 하는데 크라운을 씌우기 위해선 크라운이 들어갈 자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치아를 빙 둘러서 다 깎아버리거든요. 그러면 그게 더 치아를 손상시키는 격이 되버리는거죠. 그래서 금간치아의 치료여부는 증상이 있고 없고에 따라 결정을 하게 되는데, 경미한 균열정도는 잘못씹으면 금이 벌어져서 아프다가 또 안씹으면 치아가 제자리에 붙어서 안아프고 그러기때문에 치과에서 원인치아를 찾기도 어려워요ㅜㅜ 그렇다고 확실하지도 않은데 아무거나 치아를 깎아서 치료하긴 너무 위험하구요. 크라운씌우기전 신경치료를 먼저 해야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기 때문에 아마 예전 치과에서는 좀 더 신중했던게 아닐까요? 예전에는 금이 작게 있어서 안보였는데 지금은 오래 쓰시다보니 금이 더 벌어져서 잘 보인걸 수도 있구요~ 쨋든 크라운치료를 하게 되시면 첫날 마취하고 치아를 빙둘러 깎고 본뜨고 임시치아를 씌워드려요.본뜬건 기공소로 보내요.그리고 치과 예약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1주일정도 후에 만들어 온 크라운을 붙여드리면 끝이 나는데 만약 크라운이 잘 안맞아서 다시 만들어야 하면 한번정도 더 내원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위에서 말씀드렸듯 크라운전에 신경치료가 필요하다면 내원횟수가 3회 이상 늘어나서 보통 신경치료로 3~4번, 크라운으로 2번 내원해요.비용은 신경치료비용은 건강보험적용되는 항목이라 치과마다 똑같은데 크라운비용은 비급여라 치과마다 차이가 있어요.보통 은니가 20~30만원금니가 40~60만원(금시세에따라 받는 곳도 있음)지르코니아는 60만원 전후로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