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4년 1월 11일 작성 됨
Q.
아이와 경쟁 관련된 놀이를 하면 무조건 본인이 이겨야만 한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질 수도 있다는 걸 알려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아이들은 이기고 싶어하는 욕구가 강하고 졌을 때 상당히 힘들어하기 때문에 일부러 져주는 부모님들이 많으신데요, 일방적으로 져주는 것이 마냥 아이에게 좋지만은 않습니다. 아이와 게임을 하면서 졌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 보여주세요. 져서 실망했지만 다음 번에 더 노력해서 이길거라고 하면서 또 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그리고 졌지만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어제보다는 더 성장한 것 같다고 하시면서 결과보다는 노력하는 과정이 더 값진 것이라는 교훈을 주시기 바랍니다.그리고 아이가 졌을 때도 물론 감정적으로 힘들어하겠지만 잘했던 점을 알려주시고 어제보다는 잘했으니 내일은 더 잘해서 이길 수 있을 거라고 위로해 주세요. 그러면 아이들은 금방 또 잊어버리고 훌훌 털어내면서 성장해 갈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편식을 하는데 당연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어른에 비해 혀에 맛봉오리가 3배나 더 많습니다. 따라서 맛에 대해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요, 어느 정도 편식이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조금씩 시도해보고 익숙해질 수 있도록 권할 필요는 있습니다. 맛과 질감에 익숙해지면 서서히 좋아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월 10일 작성 됨
Q.
밖에서 훈육은 되도록 자제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밖에서 훈육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집에서와 마찬가지로 일관되게 하시는 것이 중요하지만 훈육이 격해져서 감정적이게 될 경우에는 아이에게 상처가 될 수도 있으니 사람이 없는 조용한 곳으로 이동하셔서 훈육하시길 권해드립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나서서 말도 잘하고, 자신감 있게 행동하면 좋겠는데 어떻게 도와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선 아이 앞에서 아이의 소극적인 면을 지적하면서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지양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의 경우, 주위에서 자신의 그러한 면을 안 좋게 평가하면 더 위축되고 자신감이 더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아이를 많이 칭찬해주시고 결과보다는 과정에 대한 칭찬을 통해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여러 사람 앞에서 말을 잘 못했어도 지난 번보다 더 잘한 점을 찾아 칭찬해주시고 점점 나아지고 있다고 얘기해 주세요. 그리고 크고 작은 기회를 제공해서 많이 연습해볼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렇게 조금씩 자신감을 심어주시다보면 점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월 10일 작성 됨
Q.
새로운 어린이집을 다녀야 하는 아이의 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선 등원 전에 수시로 어린이집 앞을 산책하면서 어린이집에 익숙하게 해주세요. 적응 기간 없이 바로 등원해야 한다면 가서 선생님과도 인사 나누게 해주시고 원을 둘러보며 탐색할 수 있게 하시면서 아이의 흥미를 이끌어 주세요. 그 전에 원에서는 못 보던 장난감이나 시설 등을 보여주시면서 아이가 새로운 곳에 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그리고 잠자리에서나 수시로 새로운 원에 대한 기대를 이야기 하면서 무의식 적으로 아이가 새로운 원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