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 시대의 실학은 어떻게 사회 개혁과 기술 발전에 기여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실학자들은 크게 경세치용학파와(중농학파)이용후생학파(중상학파)로 나뉠수 있습니다.경세치용학파18세기 전반에는 농업 중심의 개혁론이 대두되었다. 농촌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농민의 입장에서 토지 제도를 비롯한 각종 제도의 개혁을 추구한 실학자들을 경세치용학파라고 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농민 생활의 안정을 위한 토지 제도의 개혁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대표적인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유형원: 경세치용파의 선구자로 《반계수록》에서 균전론을 내세워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고, 양반 문벌 제도, 과거 제도, 노비 제도의 문제점을 비판하였다.이익: 경세치용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유형원의 실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으며, 많은 제자를 길러 성호 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한전론을 주장하고, 저서 《성호사설》를 통해 나라를 좀먹는 여섯 가지의 폐단을 지적하기도 하였다.[2]정약용: 토지를 공동 소유하고 이를 공동경작, 공동 분배하자는 여전론을 주장하였다.이용후생학파편집18세기 후반 영조·정조 대에는 상공업 발전 및 기술 혁신을 주장하는 실학자들이 나타났다. 당시 오랑캐라 배척하던 청나라의 문물을 적극 수용하여 부국강병과 이용후생에 힘쓰자고 조장하였으므로 이들을 이용후생학파 또는 북학파 라고도 한다. 그들은 주로 청나라에 내왕하면서 청조 문화의 우수함을 보고 조선에 돌아와서 그 발달한 문화를 수입하자고 주장한 사람들이었으며, 그들의 견문을 토대로 많은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유수원: 북학파의 선구자이다. 그의 저서 《우서》에서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의 혁신을 강조하고, 사농공상의 직업 평등과 전문화를 주장하였다.홍대용: 사신으로 청나라를 방문한 경험을 토대로 기술의 혁신과 문벌 제도의 철폐, 그리고 성리학의 극복이 부국강병의 근본이라고 강조하였으며, 사대부의 중화사상을 비판하였다. 《담헌집》을 남겼다.박지원: 상공업의 진흥을 강조하면서 수레와 선박의 이용, 화폐 유통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고, 양반 문벌 제도의 비생산성을 비판하였다. 농업에서도 영농 방법의 혁신, 상업적 농업의 장려, 수리 시설의 확충 등을 통하여 농업 생산력을 높이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과농소초). 청나라에 갔다온 경험을 담은 여행기 《열하일기》로 유명하다.박제가: 박지원의 제자로 청에 다녀온 후 《북학의》를 저술하여 청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을 제창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생산과 소비와의 관계를 우물물에 비유하면서 소비를 권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Q. 황도 12궁 중 염소자리라 있는데 한해를 시작할 때 태양이 머무는 염소자리의 사연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그리스 로마 신화에 목동과 가축을 보호하는판'이라는 신이 있었어요.그는 상체는 인간의 모습이었지만 하체는 염소의 모습을 띄고 있었고 손에는 풀피리를 항상 들고 다녔습니다.그런데 괴물 티폰이 쳐들어와 올림포스 신들이 갖가지 동물로 변신했던 사건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곳에 있었던 판은 너무 놀라서 그만 실수로 반은 염소, 반은 물고기의 모습으로 변신해 버리게 됩니다.다시 정신을 차리고 재변신을 하려는 순간, 제우스의 비명소리가 들려왔습니다. 티폰이 공격해온거에요. 판은 다시 변신해 숨지않고 재빨리 제우스를 향해 풀피리를 강하게 불었습니다.갑작스런 피리소리에 티폰이 놀라 피했고, 판의피리소리 덕분에 제우스는 티폰의 공격을 피하고 몸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제우스는 판의 용기와 도움을 고마워하여 그의 모습을 별자리로 만들어주었는데, 잘못 변신한 판의 모습이 재밌었는지 온전한 그의 모습이 아닌 변신한 모습으로 만들어주었다고 합니다.
Q. 실제로 최초로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발견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지만, 그 이전에도 대륙을 탐험한 여러 탐험가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종종 덜 알려져 있지만, 역사의 진정한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분입니다.바이킹의 북아메리카 항해10세기경, 노르웨이 탐험가 레이프 에릭슨을 포함한 바이킹들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 해안을 탐험했습니다. 그들은 '빈란드'라고 불리는 지역에 도착했으며, 이는 오늘날의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에 해당합니다. 바이킹의 이러한 항해는 유럽인들에 의한 북아메리카의 최초 기록된 발견으로 간주됩니다.폴리네시아인의 대양 항해폴리네시아인들은 대양 항해의 대가로 알려져 있으며, 수천 년 동안 태평양을 건너 섬들을 발견하고 정착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폴리네시아인들은 남아메리카와도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콜럼버스의 항해보다 수백 년 앞선 것입니다.중국의 대항해 시대15세기 초, 명나라의 제독 정화는 대규모 함대를 이끌고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동부까지 항해했습니다. 정화의 탐험은 중국의 기술적, 해상 항해 능력을 세계에 보여주었으며, 일부 이론가들은 그가 미지의 대륙에 도달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합니다.아프리카와 아랍의 탐험가들아프리카와 아랍 지역의 탐험가들도 중요한 항해를 했습니다. 14세기 말리 제국의 만사 무사는 메카 순례를 위해 아프리카와 중동을 여행했으며, 그의 여정은 당시 세계의 경제적,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