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열심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열심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염민우 전문가
국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3년 12월 22일 작성 됨
Q.
2002년1월17일생 무슨 띠 인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02년 1월 17일생 아드님의 띠는 말띠입니다. 2028~2030년도가 삼재에 해당하는년도니 주의하셔요
역사
2023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수많은 책들 중에 성경이 베스트셀러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수많은 신자를 가졌었던 종교의 성서이기 때문인것같습니다. 모든 기독교 신자들은 성경을 하나이상씩 꼭 지녔기 때문이고 유럽권문화의 종교이기때문에 인쇄가 활발히 이루어졌기 때문이죠
역사
2023년 12월 22일 작성 됨
Q.
곧 크리스마스인데요. 크리스마스의 어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리스마스의 의미는 영어로 그리스도(Christ)의 미사(mass)의 의미합니다 예수님의 탄생을 축하하는 말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이완용이 친일파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완용은 자신의 이득을 따라 움직이는 인물이였습니다.일본이 당시 조선을 지배할 기미가 보이자 친일노선을 타 조국을 배신한것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왕의 계실과 측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실과 측실을 나눠서 표현하지만의미상에서는 사실상 크게 차이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표현의 차이일뿐 동일한 의미입니다.
문학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독일은 난민 때문에 골치라는데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유럽권에서 난민이 너무 많이 발생해 서서히 난민 입국을 금지시키는 방향으로 흘러가는거 같더라고요 . 난민들때문에 난리라고는하지만 가서 사는대에 특별히 삶적인 문제가 있을거 같지는 않습니다. 일부 난민들이 문제를 일으키더라도 우리가 갔을때 그에대해 피해를 입을 일은 비교적 적을거라고 생각되어집니다.
역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슈링크플레이션이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제쪽에 질문하시는게 맞는것같지만 답변을 드리자면 슈링크플레이션이란 물품의 가격은 유지하되 물품의 양이나 부피 혹은 품질을 저하시킴으로써 가격은 동일하지만 보다 적은양 , 낮은품질의 제품을 판매하는것을 말합니다대표적인예로 점점 줄어드는 봉지과자 (이제 우리는 질소를 산다고도 하죠..)박스포장인데 안에는 낱개포장으로 이전보다 적게들어있는경우 등등 이런경우가 슈링크 플레이션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고려왕실에서 근친혼이 많았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왕실에서 근친혼을 했던 이유는 왕실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였습니다. 당시에 고려의 상속은 아들과 딸 무관하게 동일한 유산을 상속해주었기때문에 만약 공주나 2왕자 3왕자가 다른 집안과 결혼을 하게될경우 왕실의 재산이 다른가문에게 빠져나가기 때문이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최근 유럽에서 갑자기 반이민정책이 늘어난 이유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민자들에 의한 정치 종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 반이민 정책을 펼치는걸로 보여집니다. 기존 해당국가의 국민으로 지내던 사람들과 이민자들의 수 격차가 줄어들며투표권문제도 존재하고요. 예를들어 한국에 중국인들이 대거 이민을 왔다고 생각해보시면 훨씬 이해가 편하실겁니다.
역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한국 사회는 유럽과 같은 문화가 정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북유럽을 갔을때 오후3시~6시면은 다 가게를 닫는것을 보고 놀랐던 경험이 있네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한국에서는 영영 불가능할거라고 생각되어집니다. 사회적인 문화에서도 한국인은 저녁에 회식문화라던지 술을 마시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고 건물같은경우 임대료를 만회하기위해선 늦게까지 장사를해 손님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지요 유럽처럼 한적한 삶이 장점도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한국인들의 입장에선 몇달정도는 살기 좋을지 몰라도 굉장히 답답함을 느낄수도 있다고 생각되어져요그리고 보통 오후에 문을닫는 국가들은 복지국가인 경우가 많은거같더라구요 일을 하지않더라도 그 국가의 원자재로 인한 수익으로국민들에게 기본적인 복지를 주기때문에 일을 열심히 하지 않아도 여가활동 등을 하며 살아갈수 있는걸로 보여집니다.그런점은 정말 부럽긴하네요... 한국인은 복지국가가 될 천연자원이 부족하기에 그런 문화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