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옥성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옥성민 전문가입니다.
옥성민 전문가
(주)록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자동차 급발진이 발생되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급발진에 따라 원인이 다르겠지만 지금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계적으로 연결이 된 것이 아닌 전기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 시키는 방식입니다 즉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그 신호가 반도체칩으로 전달이 되고 그 반도체에서 브레이크 작동 시키는 원리인데 그 전자 집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프로그램에 문제가 생기면 브레이크 작동이 안 되거나 엑셀이 강제로 작동되거나 하여 급발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전등교체 전선 구별 도와주세요!!!
사진으로는 확인이 어려워요 일단 LED전등이라도 교류전원을 사용할텐데 +,-극은 상관없을거에요. 그리고 220V전원이니 감전을 조심하세요. 가장 쉬운확인 방법은 교류전압계를 확인해서 교류전압이 들어오는지 보시고 다시는게 가장 확실합니다.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모터에 전력공급을 위한 PCB설계를 했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나요??
모터를 작은걸 다실꺼 같은데요. 일단 작은 DC모터 5개면 최소 동작전압을 확인 하시고 최소 동작전압*5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Led등이 왜 일반 형광등에 효율이 더 좋다고 할까요?
LED의 기본소자인 다이오드에 전류를 흘려주면 빛을 내는 원리인데요. 이게 효율이 형광등에 비해서 월등히 좋습니다. 그래서 형광등 대비 적은 전기로도 빛을 낼수 있어 LED가 효율이 좋으면서 열도 적게 나고, 또 수명도 오래가기 때문에 LED전등을 쓰는 추세입니다.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기기 무선충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합니다. 두 개의 코일이 있는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입니다.송신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코일 주변에 교류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은 수신 코일을 가로지르면서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킵니다. 이렇게 유도된 전류를 정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원리입니다.이를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하며, 마이크로파 대신 자기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단,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력 전송 효율이 높아집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리로 무선 충전이 이뤄집니다.교류 전원 → 송신 코일에 흐름 → 코일 주변 자기장 형성자기장이 수신 코일을 통과하면서 수신 코일에 전류 유도유도된 전류를 정류기로 정류정류된 전류로 배터리 충전최근에는 자기 공명 결합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도 개발되어 거리를 조금 더 늘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기본 원리는 전자기 유도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