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뇌에서 몸을 움직일때 신호가 전기신호라 들었는데 속도가 빛의속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뇌에서 신체로 전달되는 신호는 전기 신호가 맞지만, 전자기파와 동일하게 빛의 속도를 따르지는 않습니다. 사람의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는 신경 섬유를 따라 전달되며, 이 속도는 신경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신경 신호의 속도는 빛의 속도보다 훨씬 느리며, 대략 초당 몇 미터에서 최대 몇백 미터 정도에 달합니다. 이는 신경 섬유의 종류와 굵기,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Q. 시중에 음료 및 기타 자판기가 동전을 구분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자판기는 동전을 구분하기 위해 주로 세 가지 원리를 사용합니다. 먼저, 자판기에는 특정 크기와 무게 범위 내의 동전만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전자기 기술을 사용해 동전의 전자기 반응을 측정합니다. 각 동전은 구성 금속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패턴의 전자기 반응이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광센서를 통해 동전의 표면 이미지를 인식해 확인합니다. 이 모든 기술들이 조합되어 자판기는 정확하게 동전을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Q. 모니터 주사율과 프레임의 상관관계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모니터 주사율과 프레임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주사율은 모니터가 1초에 화면을 갱신하는 횟수를 의미하고, 프레임 속도는 영상이 1초에 보여주는 이미지의 수를 말합니다. 질문자님의 모니터가 60Hz라면, 최대 60fps까지의 영상을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60fps 이상의 영상을 재생할 때, 모니터는 초당 60프레임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144fps 영상을 보더라도 추가적인 프레임은 출력되지 않아 차이를 잘 느끼기 어려운 것입니다. 144fps 영상의 일부 프레임은 단순히 표시되지 않으며, 모니터의 주사율이 낮아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