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윤보섭 전문가
강원대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Nacl(aq)나 Hcl(aq)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NaCl(aq) 및 HCl(aq) 둘 다 수화된 상태로 각 물질들이 물에 용해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존층의 위치는 어느정도 높이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은 지구 대기권의 성층권 상부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지표면에서 약 15~35km 상공의 고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추운게 감기 걸리는게 원인이가요? 그러면 북극사람들은 감기 더 잘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감기에 걸리는 이유는 단순히 추운 날씨 때문만은 아닙니다.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추운 날씨는 감기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일 뿐입니다. 감기에 걸리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바이러스 감염 감기는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합니다. 이들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감염되면 감기 증상이 나타납니다.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피로, 영양 불균형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워집니다.밀집된 환경 사람들이 밀집된 실내 공간에서는 바이러스 전파 위험이 높아집니다.계절적 요인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 생활이 많아지고 밀폐된 공간에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파 기회가 많아집니다. 또한 낮은 습도와 온도도 바이러스 생존에 유리합니다.결론적으로 추운 날씨는 감기에 걸릴 위험을 높일 뿐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는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를 여행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를 여행하는 여러 목적 중에 호기심과 모험심을 충족하기 위한 목적을 제외하면 다음과 같은 이유들을 들 수 있습니다.과학적 탐구와 지식 확장우주 탐사를 통해 우주의 기원, 진화, 구조 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새로운 천체, 행성을 발견하고 연구함으로써 인류의 지식 영역을 넓힐 수 있습니다.인류의 생존 기반 확보지구 자원의 고갈 가능성에 대비해 우주 자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인구 증가 등 지구 환경 악화에 따라 다른 행성으로의 이주를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기술 발전우주 탐사를 위해서는 로켓, 인공위성, 우주선 등 첨단 기술이 필요하므로 관련 기술이 발전합니다.우주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로 파급 효과를 내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미래에 대한 준비먼 미래에 태양이 소멸하면 인류는 지구를 떠나 새로운 터전을 찾아야 합니다.우주 정착을 통해 인류의 확장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무지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태양빛의 전반사와 회절, 그리고 물방울에 의한 빛의 분산 원리가 합쳐져 생기는 현상입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히알루론산은 어디서 유래한 물질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히알루론산은 인체와 다른 생물체에 널리 존재하는 당단백질(mucopolysaccharide)의 일종으로 동물, 식물, 미생물 각 3가지 유래 성분으로 나뉘는데 처음엔 동물 유래 히알루론산을 보편적으로 사용하다가 현대에 와서는 미생물 배양을 통해 대량 생산하여 많이들 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바다는 최고 깊은 곳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의 바다 가장 깊은 곳은 마리아나 해구입니다. 마리아나 해구는 태평양 서부 마리아나 열도 부근에 위치한 해구로, 최대 수심이 10,994m에 달합니다. 이곳의 최대 수심인 10,994m 지점을 잠수함으로 탐사하여 '챌린저 해저곡'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사람 맨몸으론 절대 못 들어가는 깊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은하계에는 몇 개의 블랙홀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은하인 '은하수'에는 아직까지 정확히 몇 개의 블랙홀이 있다라고 말하기 어렵지만 최소 수백만개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선 말씀하신 것처럼 은하수 중심부에는 질량이 약 400만 개의 태양 질량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1개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습니다. 또 질량이 수백에서 수만 개의 태양 질량 정도 되는 중간 질량 블랙홀이 약 2만~2억 개 존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한 번의 초신성 폭발로 형성되는 항성 질량 블랙홀은 약 수십억 개 정도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외에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소형 블랙홀도 일부 존재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은하수에는 최소 수억 개에서 최대 수십억 개 이상의 블랙홀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만 아직 검출된 블랙홀의 수는 제한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는 왜 점점 더 더워지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점점 더워지는 지구 온난화 현상은 다음의 5가지 요인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화석연료 사용 증가 산업화 이후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연소가 급증하면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온실가스는 지구 복사열을 가두어 지구 평균기온을 높입니다.산업 활동 및 운송 수단 증가공장, 발전소 등 각종 산업활동과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운송 수단이 늘어나면서 화석연료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이 가속화되었습니다.삼림 황폐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숲이 파괴되면서 이산화탄소 흡수원이 감소했습니다. 삼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므로 숲 감소는 온실가스 농도 상승에 일조합니다.농업 및 축산업 활동농경지 개간, 가축 분뇨 등으로 인한 메탄 가스 배출도 온실효과를 높이는 요인입니다.인구 증가 인구 증가로 인한 에너지 수요 증가, 산업/교통 활동 확대 등이 온실가스 배출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 중에서 가장 큰 잎을 가진 나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 중에서 가장 큰 잎을 가진 나무는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라판 팜(Rapan Palm)입니다. 라판 팜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지의 열대 우림에 주로 분포하는 대형 팜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잎은 길이가 20m에 달하고 너비는 10m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세계에서 가장 큰 잎을 가진 나무입니다. 한 개의 잎자루에 달린 잎갯모가 수백 개에 이르며, 잎자루 길이만 해도 15m가 넘습니다. 잎 하나의 무게만 300kg에 달하기도 합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