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차전지는 꼭 자동차에만 적용되는 건가용?
2차 전지는 전기를 화학 에너지로 저장한 후 필요할 때 다시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입니다. 이런 특성으로 휴대전화,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나 가전제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iOt 분야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2차전지 종류와 용도는 다양합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 드론, 로봇 등에 사용됩니다. 니켈 수소 배터리는 주로 전동 공구와 함께 일부 전기자전거,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며, 납축전지는 가정용 전원 백업 장치부터 전기 자전거, 스쿠터, 골프 카트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안전하면서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대용량 전력 저장장치나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산화환원배터리, 마그네슘이온배터리, 황화리튬배터리 등 여러 가지 2차전지가 연구 및 개발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Q. ppi지수가 높으면 cpi 지수도 높나요???
ppi(생산자물가지수)는 제조업과 광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 생산자가 제품을 도매상이나 다른 기업에 판매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반면에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합니다. ppi는 제품을 만들 때 필요한 물가를 나타내며, 정부는 여기서 인플레이션 추이를 파악하고 기업은 생산 비용과 가격 전략을 결정하는 데 활용합니다.ppi가 오르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도 올라가기 때문에 cpi도 일반적으로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ppi와 cpi는 데이터 수집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최근 4월 ppi는 전년 동월 대비 11.0% 상승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cpi는 8.3% 상승으로 다소 완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ppi가 cpi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어서 향후 cpi 상승 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ppi와 cpi 모두 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19로 인한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음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