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윤지은 전문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약 17시간 전 작성 됨
Q.
돈버는앱으로 한달에 100만원을 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앱테크로 100만원을 번다는 얘기는 인터넷에서 흔히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게 꾸준히 수익을 내는 사람은 드뭅니다. 대부분은 광고 시청이나 설문 참여 같은 방식이라 단가가 낮고 하루 종일 붙어 있어도 몇 천 원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 앱을 여러 개 돌리면 금액은 늘어나지만 시간과 노력이 훨씬 많이 들어가고 효율이 떨어집니다. 일부 포인트 전환이나 이벤트를 잘 활용하면 단기간에는 꽤 쌓일 수 있지만 생활비 수준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자산관리
1일 전 작성 됨
Q.
경제 불황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금 투자가 적절한 선택일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경기 흐름이 불안할 때 금이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주식이나 환율이 크게 흔들릴 때 금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출렁이는 편이라서 불안감을 줄여준다고들 합니다. 다만 이게 무조건 안전하다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보여온 자산에 가깝습니다. 투자 방식도 다양해서 실물 금을 직접 사는 경우도 있고 금 관련 ETF 같은 금융상품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거래 비용이나 보관 문제 같은 현실적인 요소도 따져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산관리
1일 전 작성 됨
Q.
인플레이션 헷지하려면 자산이 매년 얼마나 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이라는 게 결국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 거라 자산이 그 속도를 따라가야 의미가 있습니다. 보통 우리나라 기준 물가상승률이 2퍼센트에서 3퍼센트 정도라서 최소 그 정도는 자산이 늘어야 한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생활비나 금리 상황에 따라 체감 물가가 더 높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평균 수치보다 조금 더 여유 있게 잡아야 안정적이라 생각됩니다. 주식이나 부동산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을 쓰는 경우는 물가율을 크게 웃도는 수익을 내야 헷지 효과가 생긴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자산관리
1일 전 작성 됨
Q.
강남에서 진짜로 물어보는 건데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강남 얘기 나오면 다들 부동산부터 떠올리는데 실제로 순자산 30억 넘는 사람이 얼마나 되냐는 건 생각보다 애매합니다. 집값이 워낙 올라서 시세만 보면 쉽게 30억 찍는 경우도 있지만 대출 빼고 순자산으로 계산하면 줄어드는 게 사실입니다. 특히 현금성 자산까지 여유 있게 들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세금 부담이나 투자 구조를 따지면 체감 부자는 더 적을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1일 전 작성 됨
Q.
외국 코인거래소의 선물 기능과 빗썸에 렌딩플러스는 같은 기능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배당소득세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우선 배당 같은 금융소득이 1년에 2천만 원을 넘지 않으면 그냥 원천징수로 끝나는데 이때 세율이 15.4퍼센트로 고정됩니다. 그런데 그 기준을 넘는 순간 얘기가 달라집니다. 단순히 초과분만 과세되는 게 아니라 전체 금융소득이 다른 소득과 합쳐져서 종합소득세로 계산됩니다. 그래서 세율이 구간에 따라 6.6퍼센트에서 최대 49.5퍼센트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같은 배당이라도 사람마다 세 부담이 확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