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클리오 라떼는 선임 비슷한 팔레트..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음.. 보통 클리오의 라떼 팔레트는 부드러운 톤과 자연스러운 색조로 구성되어 있어, 봄웜라 피부톤에도 잘 어울릴 수 있습니다. 이 팔레트는 핑크끼가 적어 겨울철에도 무난하게 사용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라떼와 릴바레 초코칩스모어 비교를 해보자면 와의 색상 비교를 생각할 때, 두 팔레트 모두 부드럽고 따뜻한 색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떼는 주로 브라운과 베이지 톤이 강조된 반면, 초코칩스모어는 조금 더 다채로운 톤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한 느낌을 줄 수 있어, 서로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핑크끼 없는 봄웜라 팔레트로는 자연스러운 브라운과 뉴트럴 톤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무래도 핑크가 없는 색조를 원하시는 분께 적합합니다. 소프트하고 따뜻한 색감을 제공하며, 그리고 또한 펄이 없는 무펄 포뮬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핑크가 아닌 따뜻한 오렌지나 베이지 톤으로, 자연스럽고 생기 있는 색감을 줍니다. 이 팔레트들은 핑크끼가 적고, 봄웜라 톤과 잘 어울리는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당 ~ .,.
Q. 퍼블로그에서 포카 발주하려해서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음.. 아무래도 보통 포카 발주를 위해 설정한 캔버스 사이즈가 2600x3500 픽셀이라면, 일반적으로 인쇄 품질이 상당히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쇄물의 해상도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작은 크기의 포카와 같은 제품은 높은 해상도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쇄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300 DPI(인치당 도트 수) 기준을 권장합니다. 이는 인쇄물의 선명도와 디테일을 보장해 주는 기준으로, 고해상도의 이미지일수록 품질이 좋습니다. 이런저런 예를 들어보자면 일단 A4 크기(약 21x29.7cm)로 인쇄하고 싶다면, 약 2480x3508 픽셀 정도의 해상도가 이상적입니다. 따라서, 2600x3500 픽셀로 설정한 것은 A4 크기 인쇄에 충분한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반면, 만약 포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예: 5x7 cm)로 인쇄할 경우, 150 DPI의 해상도로도 괜찮습니다. 이 기준으로는 약 1000x1400 픽셀이 적당하며, 그 이하의 해상도로 제작하면 인쇄 시 화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카의 크기에 맞춰 해상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건 또한, 캔버스 설정 외에도 이미지의 색상 모드(CMYK 또는 RGB)와 파일 포맷(예: PNG, JPEG)도 인쇄 품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인쇄용 파일은 보통 CMYK 색상 모드로 변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이는 인쇄 시 색상이 더 정확하게 재현되기 때문입니다. RGB 모드로 설정된 이미지는 인쇄 시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2600x3500 픽셀의 설정은 포카 인쇄에 적합한 해상도로, 고화질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인쇄업체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조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시면 결과물이 잘 나오지않을까 싶습니다~제가 드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Q. 달마도 그림 누가 그림것인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낙관으로 봐서는 일붕 서경보스님입니다. 입적하신지 30년 쯤 됐네요. 이분 은 나름 조계종 출신에 불국사 주지까지 하던 분인데...말년에 조계종을 나와 본인 법명을 딴 일붕선교종이란 종파를 개파하고..또 로마가톨릭 교황청처럼 세계불교법왕청이란 단체를 만들어 본인 스스로 초대 법왕에 오르는등 아리송한 인물입니다. 그리고 이사람 사후 후인들이 아주 가관인데.. 16대 대선에 뜬금없이 출마한 김길수란 인물이 세계불교법왕청 소속이라 불교계에서 선을 긋고 이단 취급했습니다. 어차피 누가 그렸건 달마도는 보시의 개념으로 주고받는 것이라 작품개념도 아닙니다. 그리고 달마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보시의 개념이 강하게 작용하지만, 스님의 삶과 철학이 투영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불교 신자로서, 이러한 작품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하는지가 개인의 신앙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이 될 것입니다. 그러니 각 개인이 그 작품에서 어떤 가르침이나 영감을 얻는지가 중요하므로, 신도들 간의 대화와 이해가 필요합니다.제가 드린 답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그럼이만 줄이겠습니다 .,.
Q. <인왕제색도> 정선 작품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대충 키워드를 통해 알려드리자면 정선의 는 조선 후기 산수화의 대표작으로, 이 작품은 여러 가지 조형적 특징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조화로운 세계관을 전달합니다. 작품의 주요 요소를 살펴보면, 우선 수묵 담채 기법이 두드러집니다. 이 기법은 수묵화의 깊이를 더하면서도 다양한 색조를 섬세하게 사용하여, 인왕산의 독특한 형태와 자연의 색을 생동감 있게 표현합니다.특히, 정선은 짙은 먹색과 함께 부드러운 색조를 조화롭게 배합하여,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였습니다.그리고 구도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구도에서 대칭적이면서도 역동적인 형태가 눈에 띕니다. 인왕산은 화면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그 주변에 배치된 나무와 바위들이 자연스럽게 구성되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관람객에게 안정감과 동시에 자연의 웅장함을 느끼게 하여,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움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또한, 원근법이 적절히 사용되어 깊이감이 느껴지며, 산과 구름, 나무 사이의 공간감이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작품에서 선의 처리는 매우 유려하고도 힘이 있으며, 각 요소의 윤곽선을 강조하여 자연의 생동감을 전달합니다. 세밀한 필치로 그려진 나무와 바위는 사실감을 더하며, 거친 질감과 부드러운 형태가 대비를 이루어 시각적 흥미를 유도합니다.이처럼 정선의 탁월한 필법은 인왕산의 경치뿐만 아니라, 그 속에 숨겨진 정서와 느낌을 잘 담아냅니다. 또한, 여백의 미가 강조됩니다. 정선은 화면의 여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연의 공간을 표현하고, 관람객에게 사색할 여지를 남깁니다. 이러한 여백은 단순히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깊이 있는 의미를 부여합니다. 이처럼 는 정선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통해 한국 전통 미술의 본질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런식으로 그 조형적 특징들은 현대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작품은 단순한 경관을 넘어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탐구하게 하며, 관람객으로 하여금 깊은 사유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정선의 는 미술사적으로도 중요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점을 참고하셔서 인왕제색도를 감상하시면 좋을듯합니다.제가 드린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Q. 메디방 펜은 인식되는데 잉크가 나오지가 않아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일반적으로다가 메디방에서 펜이 인식되지만 잉크가 나오지 않는 문제와 필압 인식 문제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디방에서 펜/지우개 도구를 선택한 후, 상단의 설정을 확인하세요. 브러시 설정이 잘못되어 있거나, 투명도가 0%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브러시 크기가 너무 작게 설정되어 있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크기를 조정해 보세요.사용하는 펜의 드라이버가 최신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업데이트하세요. 드라이버 문제로 인해 인식이 되더라도 잉크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메디방을 완전히 삭제한 후 다시 설치해보세요. 설정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보통은 메디방의 환경 설정을 초기화하여 기본값으로 돌아가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메디방 내에서 펜의 필압 감도 설정이 변경되었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필압이 이상하게 인식되면,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 설정에서 필압 관련 옵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메디방 외에 다른 드로잉 프로그램(예: 포토샵, 클립 스튜디오 등)에서 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렇게 하면 펜 문제인지 소프트웨어 문제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태블릿이나 패드를 USB 포트에서 뺐다가 다시 연결해보세요. 연결 문제로 인해 잉크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방법들을 시도해보시고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랍니다~제가 드린 답변이 메디방 문제 해결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