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임진왜란때, 이순신장군의 거북선이 일본군을 무찌를수있었던 힘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북선은의 큰 특징은 철로 만들어진 갑판으로, 이는 적의 화살이나 화약 무기로부터 선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거북 선의 머리 부분에는 용이나 거북 등의 괴물 모양을 닮은 조각이 장식되어 있어 적들에게 공포감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구조는 거북선을 효과적인 공격 수단이자 방어 수단으로 만들었습니다.내부에는 화포와 대포 등 대형 화기를 갖추고 있었으며, 선체의 양옆에는 노 젓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서 바람이 약하거나 반대일 때에도 움직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일본군의 배보다 더 강력한 방어력과 공격력을 제공하여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이 일본군을 무찌를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Q. 문종이 세종보다 더 뛰어난 왕이 될 수 있을것이란 말은 왜 나왔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종은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뛰어나며, 천문, 역법,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을 보였습니다. 오위진법을 펴내고, 중앙군사제도를 5사 체제로 바꾸는 등 국방력을 강화했습니다. 고려사의 개찬과 고려 사절요의 편찬을 진행하였고,한글의 보급과 활용을 촉진하는 등 문화와 예술의 발전에 큰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아버지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 창제에도 깊게 관여했다는 것이 거의 확실시되며, 측우기가 문종의 업적이라는 것이 최근에야 확인되고 있습니다.
Q. 조선시대에 외국인을 바라보는 조선인들의 시선은 어땠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외국에서 온 사람들을 '향화인', '항왜' 등으로 부르며, 이들은 대체로 중국인이나 일본인이었습니다. 조선 정부는 향화인들에게 토지, 저택, 의복 및 과거 시험 응시 자격을 주는 등 우대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러나 일반 백성들은 이들을 낯설게 느끼고 경계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조선시대 백성들은 외국인을 다소 낯설게 느끼긴 했지만 적극적으로 배척하거나 혐오하는 태도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