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째서 중국과 일본은 온돌이 없는데 우리나라만 온돌문화가 발달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온돌 문화가 우리나라에서 발달한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과 기후 조건입니다. 한반도는 겨울에는 매우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매우 덥고 습합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에서는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돌은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한반도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난방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습니다. 또한, 한반도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산이 많고 평야가 적은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집을 지을 때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온돌은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하면서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에 적합한 난방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습니다.
Q. 독이 든 성배라는 표현은 언제 처음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이 든 성배라는 표현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맥베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작품에서 맥베스는 스코틀랜드의 왕이 될 예언을 듣고 욕망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이후 그는 마녀들의 도움으로 던컨 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오르지만, 죄책감과 불안감에 시달리며 고통스럽게 죽어가게 됩니다.여기서 성배는 스코틀랜드의 왕관을 의미하며, 독이 들어 있다는 것은 맥베스가 저지른 살인과 범죄로 인해 그가 받게 될 인과응보를 상징합니다. 이처럼 독이 든 성배는 얻기 어렵지만 매력적인 것으로, 그 속에 담긴 위험과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얻고 싶은 유혹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Q. 신라 진평왕이 선덕여왕에게 왕위를 계승시킨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덕여왕이 왕으로 즉위할 수 있었던 건 여성 인권의 측면보다는 오히려 골품제라는 신분제도의 영향이 컸습니다. 당시 신라는 왕이 되기 위해서는 무조건 성골이어야 했습니다. 성골이 되기 위해서는 무결점의 혈통을 가져야 하며, 성골이 진골과 혼인할 경우 그 자녀는 성골의 지위를 이어 받을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성골의 지위를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골과 성골이 혼인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근친혼이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진평왕 사후 성골의 지위를 가진 남자가 더 이상 없었다는 것입니다. 당시 남아 있던 성골은 진평왕과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덕만공주(선덕여왕), 국반 갈문왕과 월명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승만(진덕여왕) 뿐이었습니다. 따라서 성골이 왕위에 오른다는 신분제도가 없었다면 애당초 여인의 신분으로 왕이 되는 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