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업자득과 인과응보의 의미적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업자득과 인과응보는 비슷한 뜻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자업자득 자신이 저지른 일 때문에 스스로 받는 고통이나 불이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시험 공부를 게을리 해서 시험 성적이 좋지 않게 나온 것은 자기 자신이 뿌린 씨앗이기 때문에 그 열매를 거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인과응보사람이 짓는 선악의 인업에 응하여 과보가 있다는 불교 용어입니다. 즉,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따르고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남에게 선행을 베푼 사람은 나중에 복을 받고, 악행을 저지른 사람은 벌을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Q. 신라의 통일 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춘추가 외교 능력을 발휘하여 고구려가 당의 침략을 막아내고 있을 때, 삼국의 관계도 변화가 생겼으며 백제는 고구려와 손을 잡고 신라를 공격하였습니다.고구려는 격전을 통해 국력이 소모되었고, 민심 역시 잃게 되었으며 이를 틈타 신라와 당의 연합군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습니다. 이후 당나라는 이 땅을 직접 통치하려 했으나 신라는 이에 반발하여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과 연합해 당나라에 맞서 싸웠고, 매소성과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대동강 북쪽의 땅을 차지함으로써 불완전하지만 한반도 최초의 통일을 이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