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자기랑만 놀으라고 강요하는 친구가 있다면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요즘은 외동인 아이들이 많아 함께 나누는 것에 대해 익숙하지 않아요 혼자 이다 보니 아이를 중심으로 움직이다 보니 가정이 아닌 단체 생활을 하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도 같은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요 가정에서 단체 생활을 하는 유치원에서는 나를 중심으로 놀거나 움직이는 않는다고 이야기해 주세요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초3 아들이 점점 엄마한테 말대꾸하고 대듭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부모님이 하기 싫은 것을 시킬 때 말대꾸를 하거나 부모님을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단호 하게 훈육을 하지 못하면 결국 아이가 엄마의 마음을 읽어 버려 날 어떻게 하지 못 한다는 것을 알고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있어요 우선 아이의 심리 상태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말대꾸를 많이 하는 아이는 논리적이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엄마의 말이 부당하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 생각 하기 때문에 항상 엄마에 말에 반감이 있어요 아이와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고 아이의 말에 공감을 하고 이해를 할줄 알아야 합니다 항상 흥분한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좋아요 엄마가 흥분하게 되면 아이도 따라 흥분하는 경우가 있어 도저히 대화가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풀어 준다면 아이도 엄마에 대해 존중하는 마음이 생기고 아이와 잘 소통이 됩니다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유아가 물건을 던지는 습관을 어떻게 바로 잡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의 던지는 습관은 스스로 했을 것 보다 던지는 걸 보고 배우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아이들이 잘못한 행동이 마냥 귀엽게 느껴져 웃거나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면 아이는 내가 한 행동이 모두에게 즐거움을 준다고 생각해서 같은 행동을 계속 해서 반복하게 됩니다 물건을 던지게 되면 다른 친구가 다칠수도 있기 때문에 던지는 행동은 해서는 안된다고 교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육 할때는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게 평정심을 유지한 단호한 목소리로 천천히 아이가 이해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아요 보통 급한 성격을 가진 부모님들은 아이가 이해 하지도 못했는데 안돼 만 외치고 알겠지 하고 훈육을 끝내 버리는 경우가 있어 훈육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유아가 소리 지르거나 크게 울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필요한 것이 있고 원하는 것이 있으면 쉽게 얻고자 하는 마음으로 떼를 쓰면서 울거나 소리 지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에 부모님은 아이가 울거나 하면 마음이 안쓰러워 그냥 들어 주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그렇게 되면 아이는 항상 필요한 것이 있으면 울거나 소리치는 것이 습관이 될수 있어 나중에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항상 필요한 것이 있으면 울지 말고 말로 해야 한다고 단호 하게 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울지 않고 말로 한다면 아이와 대화가 되고 해줄수 없는것은 해줄수 없다고 이야기 해줄수 있어요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유아가 장난감을 치우지 않으려 할 때 이를 습관화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때 필요한 만큼 장난감이 꺼내 가지고 놀지는 않아요 마음에 드는 것이나 마음이 가는 장난감을 다 꺼내 펼쳐 놓고 놀이를 하는걸 좋아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만족감도 들고 기분이 좋아 지기도 합니다 놀고 난 후 정리를 하려고 하면 그 양이 매우 많이 있기 때문에 치우기가 어렵다 생각 하고 그냥 자리를 뜨는 경우가 많아요 많은 장난감이 문제가 된다면 일부 장난감을 상자에 넣어 치우는 것이 좋고 일부는 부모님이 치워 주고 나머지는 아이 보고 치우라고 하면 아이를 정리하는 것에 대해 유도 할수 있고 참여 시킬수 있어요
331
332
333
334
3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