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면역글로불린_lgM 수치가 조금 높아 질문드려요
IgM (Immunoglobulin M) 수치가 높은 경우, 이는 보통 체내에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IgM은 면역 반응 초기에 생성되는 항체로, 특히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IgM 수치가 높은 경우 급성 감염, 만성 감염, 자가면역 질환, 면역 결핍성 질환, 혈액질환(림프종, 골수종)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다만 이런 질환들이 있을 때 다른 수치들이 모두 정상적인 경우는 거의 없을 정도로 드물고, IgM 수치가 범위를 훨씬 초과할 정도로 높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별히 몸에 느끼는 증상이 없으면 무시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만약 특이 증상과 병력이 있다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자가면역 질환을 확인하는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진단과 치료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충동적인 행동으로 수면패턴 붕괴를 야기하는 나 - 건강 붕괴로 이어지다
안녕하세요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물론 가장 좋지만, 현대사회에서 그러기는 쉽지 않죠.수면환경을 잠에 들기 좋게 유지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예를 들어수면 환경 조성 : 주변 조명 차단, 소음 차단하기, 전자기기 사용 자제하기생활 습관 개선 : 규칙적인 운동, 카페인/알코올 섭취 조절, 야식 피하기잠들기 전에 게임 등 자극적인 활동 피하고 독서나 명상하기 등이 있겠네요.덧붙여 2주에 한번 정도라면 주관적인 판단이지만 너무 신경쓰지 않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간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것은 오히려 잠에 드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Q. 문의드립니다. 유방과에서 실시하는 조직검사는 큰 문제가 있어서 실행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직검사를 시행하자는 것만으로 매우 안좋은 증상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X-ray를 먼저 찍고 초음파를 시행했을까요?초음파에서 좁쌀 같은 하얀게 보이는 경우 암과 같은 악성종양외에도 섬유선종 같은 양성 종양 이거나, 단순 낭종, 지방 괴사 소견이 나올 수 있습니다. 초음파 외에도 맘모그램, 세침검사(Fine Needle Aspiration, FNA), 혹은 조직검사(Core Needle Biopsy)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특히 초음파는 시행자에 따라 소견이 많이 갈리는 검사이므로, 조직검사를 통해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 조직검사를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