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산수치가 7.8 나왔는데 통풍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통풍을 일으키는 요소는 다양합니다.통풍환자는 혈액내 요산이 지나치게 많습니다. 과다 축적된 요산은 결정체로 변하여 관절에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합니다.통풍의 증상엄지 발가락, 발목, 무릎등 한 군데 관절이 갑자기 빨갛게 부어오르며 통증이 매우 심합니다. 심하면 발열과 오한이 동반합니다.관절염이 처음 발생 했을때는 며칠 지나면 저절로 없어져 회복된 것처럼 느끼나, 상당기간후 다시 발생합니다.통풍를 치료하기 위해선통풍은 대사성증후군이기 때문에 식이요법이나 운동을 통하여 체중조절이 필요합니다. 퓨린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으로는 조개, 고등어, 새우, 정어리, 멸치, 육류의 내장, 맥주 등이므로 조심 해야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허리디스크가 있는데 잘 때 허리에 돌돌말은 수건을 대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신하긴 어렵지만, 허리디스크나, 요추염의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참고로 허리가 좋지 않으면 하반신에 문제(저림, 경련, 감각저하 등)이 올 수 있습니다.) 허리통증의 경우 정형외과 등에 가셔서 물리치료를 받으시고, 평소보다는 허리를 덜 쓰시셔야합니다.(다만, 완전히 누워만 있으면 오히려 악화될 수 있으니, 천천히 워킹하는등의 가벼운운동을 꾸준히 하셔야합니다.)약물치료를 하셔야할수도 있습니다.(약물치료의 대표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근육이완제 입니다.)통증이 계속되시면 추후에 수술(수핵용해설, 디스크절제술, 등)이나 주사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손을 뒤로 꺽으면 뼈 소리도나고 자동으로 힘이빠집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에 속하십니다만 정확한진단은 병원에 가보셔야할것 같 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반복적인 손목 사용 (프로게이머, 운전사, 요리사, 등)노화 (고령으로 인한 퇴행성 변화비만당뇨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보통 핸드폰이나 컴퓨터 운전등의 손목을 사용하는 행동들을 쉬게 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또한, 소염진통제를 처방받아 드셔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근육이완제도 같이 처방되기도 합니다.)그러한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횡수근인대 절제술 같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손목터널증후군에 걸리면, 손가락의 불편이 나타나게 됩니다. (경련, 떨림, 저림 등)심한경우에는 붓고 시린 증상도 나타나게 되며,물건을 자주 놓치는 현상도 나타나게 됩니다.
Q. 변비와 설사반복.. 어떻게 해결하죠?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변비를 일으키는 요소는 다양합니다.식사량이 충분치 않거나,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을 경우, 변의를 느낄 때 변을 보지 않거나, 배변습관이 일정치 않을 경우, 임신한 경우 또는 운동부족, 환경변화 등에서 잘 생깁니다. 변비의 증상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2회 이하면 변비라고 할수 있고, 배변횟수가 충분하더라도 배변시에 1분이상 힘을 주어야 배변이 될 정도로 굳은 변을 보는 경우도 변비라고 할수 있습니다 변비를 치료하기 위해선약물요법으로는 (1) 팽창성하제(주로 식물성 섬유소) (2) 삼투압성하제(장내 삼투압을 증가시켜 변에 수분을 축적하여 변을 보게 함) (3) 자극성하제(대장내 수분과 전해질을 축적하고 장점막신경총을 자극하여 장운동을 유발) (4) 위장관 운동 항진제(장운동을 촉진 시켜서 만성변비를 치료) 등이 있습니다.
Q. 과민성대장증후군 때문에 변비가 생겼습니다.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변비를 일으키는 요소는 다양합니다.식사량이 충분치 않거나,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을 경우, 변의를 느낄 때 변을 보지 않거나, 배변습관이 일정치 않을 경우, 임신한 경우 또는 운동부족, 환경변화 등에서 잘 생깁니다. 변비의 증상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2회 이하면 변비라고 할수 있고, 배변횟수가 충분하더라도 배변시에 1분이상 힘을 주어야 배변이 될 정도로 굳은 변을 보는 경우도 변비라고 할수 있습니다 변비를 치료하기 위해선약물요법으로는 (1) 팽창성하제(주로 식물성 섬유소) (2) 삼투압성하제(장내 삼투압을 증가시켜 변에 수분을 축적하여 변을 보게 함) (3) 자극성하제(대장내 수분과 전해질을 축적하고 장점막신경총을 자극하여 장운동을 유발) (4) 위장관 운동 항진제(장운동을 촉진 시켜서 만성변비를 치료)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