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차 백신을 맞아도 코로나가 걸리나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YTN] 2021.10.27중앙방역대책본부는 백신별 접종 권고 횟수를 모두 접종하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돌파감염' 사례가 2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방대본은 국내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자 2,693만 8,731명 중 0.074%에 해당하는 1만 9,954명이 돌파감염 추정 사례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접종자 10만 명 당 74명 정도입니다.연령대별로는 30대가 0.134%(접종자 10만 명 중 134.3명)로 돌파감염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백신 종류별로는 얀센 백신 접종자가 접종자 중 0.267%로 가장 많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중자 중 0.099%,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48%,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00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교차접종자 중 돌파감염 발생률은 0.071%로 집계됐습니다.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률이 더 높아지면 확진자 중 돌파감염 비율이 계속 높아질 수 있고, 백신 접종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줄 가능성도 있다며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수칙 준수를 강조했습니다.코로나 백신 접종을 2차까지 완료하고도 감염이 된 경우를 돌파감염이라고 합니다.돌파감염률은 0.074% 라고 합니다.다만, 백신접종율이 높아지고, 접종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줄어들면 돌파감염률이 더 높아질 수 있겠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3차 부스터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 2차 접종까지 완료한 경우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방효과가 점차 감소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2차 접종 완료한지 4~5개월(면역저하자는 2개월)이 지난 고령층 및 고위험군에 대해 부스터샷을 시행하고 있습니다.얀센 백신 접종자 돌파감염 발생률이 다른 백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얀센 접종을 완료한지 2개월이 지난 일반인에게도 11월 8일부터 부스터샷을 시행하고 있습니다[THE FACT] 2021.10.28얀센 접종자는 28일부터 사전예약을 받아 11월8일부터 접종을 시작한다.50대와 50대 미만 기저질환자, 우선접종 직업군은 11월1일부터 사전예약을 받아 15일부터 접종한다.우선접종 직업군은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보건의료인, 돌봄종사자, 특수교육·보건, 보건교사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경찰·소방·군인과 같은 사회필수인력 등이다.추가접종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 등 mRNA 백신을 원칙으로 한다. 단 얀센 백신 접종자 중 희망자는 얀센 백신으로 추가접종이 가능하다.화이자/모더나 접종의 경우 아직까지는 위험군에 대해서만 추가 접종을 하고 있지만 물량이 확보되면 접종을 완료한 일반인에게도 부스터샷을 시행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 대상자는 4~5개월이 지난 사람이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부스터샷 접종도 1차, 2차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마찬가지로 강제가 아닌 자율입니다.인구 전체적으로 보면 코로나 백신 추가 접종으로 인한 부작용이 있으나 그 부작용으로 인한 해보다는 부스터 샷으로 인한 잠재적인 이득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다만 개인적으로 보면 코로나 백신으로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특이 이전 접종시 이상반응)의 위험성과 부스터샷으로 얻는 추가적인 예방효과 및 사회적 인센티브를 고려하여 접종을 결정 하셔야겠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얀센 부스터샷은 화이자나 모더나 부작용이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얀센 백신 접종자 돌파감염 발생률이 다른 백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실 1차 접종으로 끝나는 얀센 접종의 효과에 대해 의구심이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정부에서 10월 28일 발표하여 모든 얀센 접종자에 대해서는 11월 8일부터 부스터샷을 하고 있습니다.얀센 백신의 추가 접종은 화이자, 모더나, 얀센 중 희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고 합니다.경우에 따라 화이자/모더나는 둘 중 랜덤으로 맞거나, 얀센 접종은 따로 선택 가능하다고 합니다.[헬스조선] 2021.10.28얀센 접종 완료자가 부스터 샷을 시행하면 중화항체가 최대 76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의 얀센 부스터 샷 허가 근거 자료 등에 따르면, 얀센 백신은 교차 접종을 할 때 중화항체 증가 효과가 크다. 특히 mRNA 백신으로 부스터 샷을 접종하면 중화항체 수치가 매우 증가한다.같은 mRNA 백신이라도 차이는 있다. 모더나는 중화항체가 최대 76배 증가하고, 화이자는 부스터 샷을 접종했을 때 중화항체가 35배 증가한다. 반면, 얀센 백신으로 부스터 샷을 시행하면 중화항체는 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하여 효과는 모더나>화이자>얀센으로 나오나, 저 연구가 45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고 합니다. 표본이 좀 적죠....다만 모더나 부스터샷은 부작용을 고려하여 1차와 2차 때 용량의 절반만 사용한다고 합니다.안전성으로 보면 이전에 맞았던 백신(얀센)을 맞는 것이 더 낫긴 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30세 미만은 왜 모더나 백신을 제한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Viewers] 2021.11.18우리나라에서 30세 미만(1992년 1월1일 이후 출생자)의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접종 중단이 결정됐다.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지난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백신 접종 변경계획을 발표했다.우선 18일부터 30세 미만 연령층은 기본(1·2차)접종에 모더나 백신 사용을 제한하고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한다.이미 모더나로 1차 접종을 한 경우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교차접종 한다.이는 30세 미만 연령층의 안전을 위해 선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권고에 따른 것이다.앞서 일부 유럽국가에서는 모더나 백신의 심근염·심낭염 발생 확률이 화이자보다 높아 모더나 접종을 제한해 왔다.현재 우리나라는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간 심근염·심낭염 신고율 등에 큰 차이가 없지만, 프랑스와 독일 등 일부 해외국가에선 30세 미만에서 심근염·심낭염 발생률이 뚜렷이 높게 나타났다.이에 당국은 해외의 부작용 연구 결과와 국내 백신 수급 상황을 고려해 모더나 백신의 접종 연령을 일부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해외 일부 국가에서 30세 미만에서 심근염, 심낭염 발생률이 뚜렷이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와 백신 수급 상황을 고려해 30세 미만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중단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미 1차 맞은 분은 화이자로 접종한다고 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Q. 백신 정말 맞아야 대나요?????????????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NEWS1 뉴스] 2021.10.28◇"백신 미접종자 접종완료군 보다 사망위험 9.4배 높아"방역당국이 이날 코로나19 백신을 아예 맞지 않거나, 1차 접종 후 14일이 경과하지 않은 '미접종자'는 백신 접종 완료군에 비해 코로나19에 의한 사망 위험이 9.4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추진단이 만 18세 이상 내국인 4398만3105명의 주차별 감염률, 위중증, 사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다.추진단은 "9월 다섯째 주를 기준으로 보면 미접종군은 백신 완전 접종군에 비해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은 2.7배, 코로나19로 인해 위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은 22배, 코로나19로 사망할 위험은 9.4배 높다"고 발표했다.라고 하여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감염 확률도 줄어들고, 위중증으로 진행될 위험도 줄고, 사망 위험도 줄어들게 됩니다.젊은 사람이 백신을 맞으면 더 안 좋다는 것은 아마도 모더나/화이자 접종시 젊은 사람에게서 매우 드물지만 심근염/심낭염이 고령에 비해 더 잘 발생한다는 것에 대한 오해로 생각됩니다. 그 이외에는 젊은 사람이 백신 접종 후 더 안 좋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다만 젊은 연령은 고령에 비해 감염될 확률이 낮고, 중증으로 갈 확률이 더 낮아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접종 효과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30대 미만은 왜 모더나를 못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Viewers] 2021.11.18우리나라에서 30세 미만(1992년 1월1일 이후 출생자)의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접종 중단이 결정됐다.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지난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백신 접종 변경계획을 발표했다.우선 18일부터 30세 미만 연령층은 기본(1·2차)접종에 모더나 백신 사용을 제한하고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한다.이미 모더나로 1차 접종을 한 경우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교차접종 한다.이는 30세 미만 연령층의 안전을 위해 선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권고에 따른 것이다.앞서 일부 유럽국가에서는 모더나 백신의 심근염·심낭염 발생 확률이 화이자보다 높아 모더나 접종을 제한해 왔다.현재 우리나라는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간 심근염·심낭염 신고율 등에 큰 차이가 없지만, 프랑스와 독일 등 일부 해외국가에선 30세 미만에서 심근염·심낭염 발생률이 뚜렷이 높게 나타났다.이에 당국은 해외의 부작용 연구 결과와 국내 백신 수급 상황을 고려해 모더나 백신의 접종 연령을 일부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해외 일부 국가에서 30세 미만에서 심근염, 심낭염 발생률이 뚜렷이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와 백신 수급 상황을 고려해 30세 미만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중단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미 1차 맞은 분은 화이자로 접종한다고 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Q. 화이자 백신 부작용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출처 :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이상반응관리팀]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어지러움, 관절통, 알러지 반응 뿐만 아니라 매우 드물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AZ, 얀센), 심근염/심낭염(모더나, 화이자) 등의 이상반응도 있으며, 연관성이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월경 이상, 탈모 등도 보고 되고 있습니다.[YTN] 2021.10.27중앙방역대책본부는 백신별 접종 권고 횟수를 모두 접종하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돌파감염' 사례가 2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방대본은 국내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자 2,693만 8,731명 중 0.074%에 해당하는 1만 9,954명이 돌파감염 추정 사례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접종자 10만 명 당 74명 정도입니다.연령대별로는 30대가 0.134%(접종자 10만 명 중 134.3명)로 돌파감염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백신 종류별로는 얀센 백신 접종자가 접종자 중 0.267%로 가장 많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중자 중 0.099%,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48%, 모더나 백신 접종자 중 0.00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교차접종자 중 돌파감염 발생률은 0.071%로 집계됐습니다.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률이 더 높아지면 확진자 중 돌파감염 비율이 계속 높아질 수 있고, 백신 접종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줄 가능성도 있다며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수칙 준수를 강조했습니다.백신 접종 완료자 중 코로나19 감염자를 돌파감염이라고 하며, 돌파감염률은 10월 27일 기사에 의하면 0.074% 라고 하며, 화이자 접종의 경우 0.048% 라고 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코로나백신 안전한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NEWS1 뉴스] 2021.10.28◇"백신 미접종자 접종완료군 보다 사망위험 9.4배 높아"방역당국이 이날 코로나19 백신을 아예 맞지 않거나, 1차 접종 후 14일이 경과하지 않은 '미접종자'는 백신 접종 완료군에 비해 코로나19에 의한 사망 위험이 9.4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추진단이 만 18세 이상 내국인 4398만3105명의 주차별 감염률, 위중증, 사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다.추진단은 "9월 다섯째 주를 기준으로 보면 미접종군은 백신 완전 접종군에 비해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은 2.7배, 코로나19로 인해 위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은 22배, 코로나19로 사망할 위험은 9.4배 높다"고 발표했다.백신을 접종하지 않으면 무엇보다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 위중증 진행될 위험, 사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백신 접종 완료자에게만 백신 패스를 적용하고 있어, 백신 접종 하지 않을 경우 백신 인센티브를 받지 못 합니다.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인한 부작용이 있으나 그 부작용으로 인한 해보다는 접종 완료로 인한 잠재적인 이득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다만 개인적으로 보면 코로나 백신으로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특이 이전 접종시 이상반응)의 위험성과 접종 완료로 얻는 예방효과 및 사회적 인센티브를 고려하여 접종을 결정하셔야 겠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