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울산광역시 태화강에 연어는 주로 언제 올라오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 온도 상승 등 기후변화에 의해 울산 태화강의 회귀 연어의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중입니다.2022년 12월 울주군에 따르면 당해 10~11월 모천(母川)인 태화강으로 돌아온 연어는 173마리이며,이는 지난해(2021년) 136마리보다 37마리 늘어났지만, 2014년 최대 1827마리가 되돌아온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정도 수준으로 줄었다고 발표했습니다.참고로, 울산 태화강의 연도별로 회귀 연어 현황을 보면2009년 614마리, 2010년 716마리 수준에서 2013년부터 1788마리, 2014년 1827마리로 급격히 수가 늘어났습니다. 이후 2015년 578마리에서 2016년 123마리, 2017년 143마리, 2018년 269마리, 2019년 162마리, 2020년 885마리, 2021년 136마리,2022년 173마리 순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회귀 연어를 포획해 조사하는 김나리 태화강 생태관 연구사는 “회귀한 연어에서 채취한 알을 인공 수정해 새끼를 부화시키고 봄에 방류해 돌아오게 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며 “그런데 최근 바닷물 온도가 따뜻해지면서 어린 연어가 방류 직후 폐사해버려 회귀 연어 수도 줄어드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 이외에 태양계에 있는 행성 중에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 중에서 지구 이외에는 생명체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다만, 2015년 지구에서 11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K2-18b 행성에서 그 가능성을 발견하였습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먼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잠정적 증거를 발견했으며, 계속적으로 확인 중입니다.관련 연구진은 JWST가 K2-18b 행성에서 황화디메틸(DMS) 분자를 감지하였으며, 이 분자는 적어도 지구에서는 생명체만 만들어 내는 물질이라 하였습니다.또한 관련 연구진은 110광년 떨어진 K2-18b 행성에서 분자를 감지하는 것이 "강력한 증거"는 아니라고 강조하며,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연구를 주도한 니쿠 마두수단 케임브리지대학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연구팀 전체가 이 결과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했으며 그는 "지구에서는 오직 생명체만 DMS를 만들어 낸다. 지구 대기에 존재하는 DMS 중 대부분은 해양 환경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방출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이처럼 계속되는 연구를 통해 K2-18b 행성에서 생명체를 발견할지도 모르겟습니다.
Q. 맹꽁이는 어떤 양서류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맹꽁이는 울음소리가 '맹꽁 맹꽁'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생물학적 분류로 양서강 맹꽁이과에 속해있습니다.맹꽁이의 특징으로는 다른 양서류에 비해서 주둥이가 짧고 몸통이 둥글고 통통하며,몸통은 갈색, 녹색이며 검은 무늬가 등에 있습니다.알에서 1~2일 후에 깨어나 올챙이가 되고 12~15일 만에 성체가 됩니다.뒷발로 땅을 파고 들어가 숨기 때문에 작성자분도 쉽게 보기 힘드셨을겁니다.분포지는 한국의 경우 중서부, 추자도, 제주도, 전라도, 경상도 일부이며 중국에서 서식합니다.7월~8월 경 마을 주변의 습지나 들, 산에서 볼수 있습니다. 밤에 활동하므로 밤에 가셔야 합니다.
Q. 머리카락은 일반적으로 몇개이며, 얼마나 빠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은 사람별로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8만개~10만개 수준입니다.하루에 빠지는 머리카락은 보통 50개 정도가 정상범위이며, 100개 이상부터는 대책이 필요합니다.머리카락의 수명은 남자,여자별 다르며, 일반적으로 남성이 4~5년, 여성이 5~6년 입니다.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스트레스성 탈모, 유전적 요인, 영양부족, 머리카락 관리 소홀(지나친 염색, 파마, 등)이 그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평행우주가 존재한다면, 그들과 우리 사이에 정보 교환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평행우주에서 평행이란, 서로 만나지 못하는 평행선을 말할때 쓰는 평행이란 단어입니다.이처럼 평행우주 간 서로 만나는 일은 없다는 것을 전재로 하고 있습니다. 각 평행우주는 서로 고립되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평행우주설에서 평행우주란 같은 모습을 가지고 같은 시간을 공유하는 수없이 많은 우주를 말합니다.즉, 자신이 살고있는 우주가 아닌 평행선 상 위치한 다른 우주를 말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다른 행성에 외계물질이나 곤충 이런게 발견된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발견된 외계 생명체는 없습니다.최신 우주과학소식 전달드립니다.최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먼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잠정적 증거를 발견했을 가능성이 생겼습니다.JWST가 황화디메틸(DMS) 분자를 감지했을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지구에서는 생명체만 만들어 내는 물질입니다.관련 연구진은 120광년 떨어진 행성에서 분자를 감지하는 것이 "강력한 증거"는 아니라고 강조하며,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들은 같은 행성의 대기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도 감지했습니다.이런 기체가 감지된다는 것은 K2-18b로 명명된 이 행성에 물로 된 바다가 존재한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연구를 주도한 니쿠 마두수단 케임브리지대학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연구팀 전체가 이 결과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했으며 그는 "지구에서는 오직 생명체만 DMS를 만들어 낸다. 지구 대기에 존재하는 DMS 중 대부분은 해양 환경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방출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강물이 굽어질때 안쪽과 바깥쪽중 어디가 빠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강물 물속 지형, 폭 등 형상따라 다르겠지만전 구간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면.강물의 바깥쪽이 더 빠릅니다.강물이 동일한 유속으로 같은 구간을 지나야한다면바깥쪽이 긴 거리를 같은시간 동안 지나가야하기 때문이지요.하지만 마찰력을 고려한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일반적으로 강물은 직진하려는 성향이 있고,강물의 곡면을 만나기 전까지 직진하려고 합니다.곡면을 만나는 지점(바깥쪽)에서는 지반 침식을 일으키며 속도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안쪽에 침전물을 쌓게됩니다.따라서 가장 빠른 유속을 가지는 구간은 강물 중심선에서 바깥쪽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가장 빠른 유속을 가집니다. 그림출처: FPN 소방방재신문
Q. 변기 물을 내리면 빙글빙글 돌면서 내려가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향력, 즉 코리올리 효과 때문입니다.코리올리 효과를 간략히 설명드리자면,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북반구에서는 물체의 운동이 오른쪽으로 벗어나고,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벗어나는 효과를 말합니다.미사일 발사를 예로 들자면,북반구 북쪽에서 남쪽으로, 남반구 남쪽에서 북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한다면, 쏜 방향으로 정확하게 미사일이 날아 갈지 알아봅시다.1) 북반구 북쪽에서 남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지구 자전에 의해 미사일이 휘어서 발사지점 보다 왼쪽(서쪽)에 미사일이 떨어지게 되고2) 남반구 남쪽에서 북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지구 자전에 의해 미사일이 휘어서 발사지점 보다 왼쪽(서쪽)에 미사일이 떨어지게 됩니다.결과적으로 모두 약간씩 휘게 됩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의 영향 때문이며,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을 하기 때문에 미사일이 쏜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아갈 수 없는 것입니다.(코리올리 효과)그렇다면, 북반구 남쪽에서 북쪽으로, 남반구 북쪽에서 남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한다면 어떻게 될까요?3) 북반구 남쪽에서 북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발사지점 보다 왼쪽(서쪽)에 미사일이 떨어지게 되고4) 남반구 북쪽에서 남쪽으로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발사지점 보다 왼쪽(서쪽)에 미사일이 떨어지게 됩니다.이렇게 코리올리 효과를 통해 물의 흐름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됩니다.
Q. 장기간의 비행탑승시 발이 붓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장시간 비행 시 발이 붓는 이유는 기압차이로 인한 체내순환이 원활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비행기 탑승시 고도의 변화가 생기며, 이 고도의 변화에 따라 온도, 습도, 기압이 급격하게 변합니다.기압이 낮은 높은고도에서 장시간 비행하게되면 심혈관과 림프계 등의 순환이 원활해지지 않으며,또 좁은 공간에서 장시간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기에 골반과 다리의 정맥과 림프관 등이 눌리면서 혈전 또는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평소보다 더 많이 걷거나 무거운 짐을 옮기는 등 팔다리 사용이 급격히 많은 날 비행기 탑승시,상기 부종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