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산책중 진드기에 노출되었는데 해결책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의 대부분은 작은소참진드기로, SFTS라는 질환의 매개 진드기입니다. SFTS는 굉장히 위험한 질환이긴 하나, 모든 참진드기가 SFTS를 매개하지는 않고, 숙주의 면역상태에 따라 감염까지 이환되지 않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해당 질환은 사람, 동물 모두 감염이 가능하며 치사율이 높은 열병입니다.다만, SFTS에 이환될 정도가 되기 위해선 진드기가 꽤 오랜시간 흡혈을 해야하고, 숙주의 건강상태가 썩 좋지 않아야 하므로, 평소 진드기구제를 열심히 해준 상태라면 큰 위협없이 지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진드기가 육안으로 보았을 때 꽤나 피를 많이 빤 것으로 보인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하셔서 추가 진드기 예방약을 적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흡혈을 많이한 진드기는 손으로 억지로 떼내지 마시고, 동물병원에서 떼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구제약을 따로 하지 않았다면 수많은 진드기를 일일이 떼내지 마시고, 동물병원에 내원해주세요.
Q. 강아지 품종 중 활동량이 많은 아이들과 적은 아이들은 각각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수렵견 출신의 품종인 콜리계열 강아지, 목양견으로 쓰이던 잭 러셀 테리어나 비글 품종이 비교적 활동량이 많고, 대개 중국 황가나 유럽 귀족, 왕실 유래로 알려진 시츄나 페키니즈, 퍼그 등은 활동량이 낮은 편입니다. 불독처럼 해부학적 구조가 유산소에 적합하지 않은 품종도 활동량이 좋지 않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