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울트라셋 이알 서방정 금단증상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울트라셋은 약간 마약성 효과가 있어 부작용이 많은 약이니 끊어가시는 게 좋습니다---------------------------------------------------------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한 임상시험 중 2%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가려움증, 구역, 구토, 두드러기, 두통, 변비, 소화불량, 식은땀, 식욕감소, 어지러움, 졸음, 갈증, 구강건조증, 다한증, 발진, 배뇨장애, 복통, 불면증.3) 임상시험 중 이 약 투여군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을 발현기관별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매우 흔하게: 10% 이상, 흔하게: 1% 이상 10% 미만, 때때로: 0.1% 이상 1% 미만)① 감염 및 기생충 침입 :때때로- 발백선증, 비염, 코인두염② 근골격 및 결합조직 장애:흔하게- 사지통증때때로- 관절통, 근경련, 근육쇠약, 근육통③ 눈의 장애:때때로- 시야흐림, 결막염④ 면역계 장애:때때로- 면역반응감소⑤ 신경계 장애:매우 흔하게- 어지러움, 졸음흔하게- 두통, 불면증때때로- 감각이상, 몽롱상태, 미각이상, 불수의적 근수축, 진전, 편두통⑥ 신장 및 요로계 장애:흔하게- 배뇨장애, 혈뇨때때로- 짙은뇨, 무뇨증, 배뇨지체, 요실금, 핍뇨⑦ 위장관 장애:매우 흔하게- 구역, 변비, 구토, 소화불량흔하게- 구강건조증, 복부통증, 복부불편감, 복부팽만, 상복부불편감때때로- 상복부통증, 소화성궤양, 설사, 트림⑧ 일반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흔하게- 갈증, 가슴불편감, 얼굴부종, 오한, 발열때때로- 말초부종, 무력증⑨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매우 흔하게- 가려움증흔하게- 다한증, 두드러기, 발진, 식은땀⑩ 혈관 장애:때때로- 창백, 혈압변동⑪ 호흡계, 흉곽 및 종격장애:흔하게- 호흡곤란때때로- 기침, 콧물⑫ 기타:흔하게- 뇨적혈구양성때때로- 혈압상승, 두근거림, 월경 불규칙, 유방암, 상해
Q. 오메가3도 장기복용시 부작용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중성지방이 높은 고지혈증에는 도움이 되고요 엘디엘치가 높은 경우엔 피하시고요이상반응은 아래 참고하시고요----------------------------------------------------------------------------이상반응1) 8건의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hypertriglyceridemia)에 대한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이중맹검, 평행군 임상시험에서 1%이상의 환자에서 발생한 약물관련 이상반응은 [표 1]과 같다. 임상시험에서 이 약은 투여환자의 3.5%가, 위약은 투여환자의 2.6%가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약을 중단하였다.[표 1]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환자 대상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C1]2) 임상시험기간 동안에 관찰된 기타 이상반응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22건의 임상시험에서 1명 이상의 환자에서 관찰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ㆍ 전신 : 복부 팽창, 무력증, 체취, 흉통, 오한, 자살, 발열, 전신부종, 진균감염, 권태감, 목의 통증, 종양, 류마티스성 관절염, 급사(sudden death), 바이러스성 감염ㆍ 심혈관계 : 부정맥, 우회로조성술(bypass surgery), 심장정지, 고지혈증, 고혈압, 편두통, 심근경색, 심근허혈, 폐색, 말초혈관 장애, 실신, 빈맥ㆍ 소화기계 : 식욕부진, 변비, 구강건조, 연하장애, 결장염, 대변실금, 위염, 위장염, 위장장애, 식욕증가, 장폐쇄, 흑색변(melena), 췌장염, 이급후중, 구토, 생선 냄새ㆍ맛에 기인한 역류나 트림, 오심, 고창, 설사ㆍ 혈액-림프계 :림프절병증ㆍ 대사 및 영양장애 : 부종, 고혈당증, ALT 및 AST 증가ㆍ 근골격계 : 관절통, 관절염, 근육통, 병적 골절, 힘줄 장애ㆍ 신경계 : 중추신경계 종양, 우울증, 어지럼증, 감정의 불안정, 안면마비, 불면, 혈관확장, 현기ㆍ 호흡기계 : 천식, 기관지염, 잦은 기침, 호흡곤란, 코피, 후두염, 인두염, 폐렴, 비염, 부비동염ㆍ 피부 : 탈모, 습진, 가려움증, 발한ㆍ 특수감각 : 백내장ㆍ 비뇨생식계 : 자궁경부이상, 자궁내막종양, 부고환염, 발기부전3)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6년동안 7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유해사례 발현율은 20.95%(159명/759명, 240건)이었고, 이 중 본제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3.95%(30명/759명, 37건)이며, 소화불량 0.79%(6명/759명, 6건), 어지러움 0.40%(3명/759명, 3건), 두통, 변비, 오심(욕지기, 구역), 위장관 장애, ALT상승, AST상승, 가려움(증) 각각 0.26%(2명/759명, 2건), 감각이상, 설사, 구강건조, 흉통, 흉부 불쾌감, 부종, 피로, 불쾌감, 체중 감소, 근육통, 고지혈증, 기관지염, 호흡 곤란, 기침 각각 0.13%(1명/759명, 1건)이 보고되었다. 이중 중대한 약물유해반응은 없었다.-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은 총 5건 발생하였으며, 발현사례로는 감각이상, 흉부불쾌감, 피로, 불쾌감, 체중감소 각 1건이었다. 이중 중대한 약물유해반응은 없었다.4) 기타 : 국외 임상시험에서 때때로(0.1%~1% 정도) 저혈압, 위장관출혈, 통풍과 같은 이상반응이 추가로 보고되었다.5)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의 복합형(typeⅡb형) 환자에서 이 약 1000mg 4캡슐과 아토르바스타틴 20mg 1정의 병용요법(1일 1회, 8주간 복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1건의 임상시험에서 이 약과 아토르바스타틴 병용투여군 42명 중 1명 이상의 환자에서 관찰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ㆍ 소화기계 : 변비, 상복부 불쾌감, 대장 폴립(large intestine polyp), 치통ㆍ 신경계 : 두통, 졸음, 감각이상, 실신ㆍ 감염 : 비인두염, 대상포진ㆍ 호흡기계 : 만성폐쇄성폐질환, 콧물ㆍ 전신 및 투여부위 이상 : 급사(sudden death)ㆍ 피부 및 피하조직계 : 가려움증ㆍ 근골격계 : 관절통ㆍ 비뇨생식계 : 혈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