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엽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전문가입니다.
이상엽 전문가
예금보험공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무역수지 적자가 역대최다이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작년 무역수지 적자는 472억 달러로 연간기준으로 최대였습니다. 주요원인은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입액의 증가였습니다. 특히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석유 등 가격상승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올해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올해 미연준은 금리인상의 속도는 늦추겠지만, 상반기까지는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 예상됩니다. 한국은행도 이에 맞춰 금리를 인상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하반기까지 인플레이션이 목표수준까지는 하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바,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려울 거 같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지금 은행들이 경영상태가 다들 안좋은데 적금은괜찬나여?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특히 저축은행과 같은 2금융권을 중심으로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부실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예금할 은행을 선택한다면 BIS비율과 같은 자본건전성과 순이익 등이 상대적으로 좋은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주식 보유한 기업이 파산 시 환불은 무엇으로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이 파산한다는 의미는 보유자산 등으로 부채도 상환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주주는 채무를 우선 상환하고 남은 잔여재산에 대한 권리가 있기 때문에 파산한 경우 주주가 회사로부터 주식의 일부가치라도 상환받기는 어렵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유효기간이 지난 백화점 상품권은 버려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백화점 상품권도 상사채권으로 5년의 소멸시효를 적용받습니다. 상품권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유효기간이 경과하였어도 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출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내년에 금리는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연준의 기준금리 상단이 5%초반이 예상되고 현재 4.5%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25%이며 미국의 금리 인상기조를 어느정도 맞추어 갈것을 감안하면 4%초반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주식에서 가지고 있는 주식이 없어질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회사가 파산된다는 의미는 회사의 부채가 자본을 초과하여 부채도 상환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감자절차 등을 통해 기존 주식을 없앨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실제가치는 없으므로 실질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예금·적금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기준금리는 어떨 때에 인하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는 목표인플레이션 수준인 2% 수준에 근접하고 경기침체 상황일 경우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아직 인플레이션이 7%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하기에는 어려울 거 같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금융 투자를 할 때도 감정 컨트롤이 투자에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021년까지 주식 등 금융시장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이 지배적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뛰어들었습니다. 하지만 그 때가 시장의 정점이었고 많은 사람이 손실을 입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있어 객관적인 판단을 해야 하지만, 군중심리나 확증편향 등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투자판단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투자결정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경제동향
2022년 12월 31일 작성 됨
Q.
2023년도 인플레이션 좀 진정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인플레이션의 속도가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목표인플레이션 2%대비 매우 높은 7% 수준입니다. 다만, 경기침체로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고 있으므로 점차적으로 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중결된다면 인플레이션을 좀더 신속히 안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