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토끼는 성대가 퇴화 됐다고 하는데요, 성대가 퇴화된 동물에는 또 어떤 동물들이 있나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토끼외에도 기니피그나 암사슴, 낙타, 고래일부, 오리너구리등이 성대기 일부 퇴화거나 완전히 퇴화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왜 고양이는 캣닢 냄새에 반응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캣잎안에는 네페탈락톤이라고하는 고양이 후각세포에 결합하는화학물질이 들어있는데, 고양이 뇌 감정과관련된 부분인림빅계와 시상하부에 작용한다고합니다.이 반응에의해 머리를 문지르거나 비비고미친듯이 뛰어다니거나 깨무는행동을하기도합니다.일종의 놀이와 같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왜 모기는 사람마다 물리는 정도가 다른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모기가 좋아하는 화학적분자의 분비정도가 다르기때문입니다.주로 이산화탄소나 휘발성화학물질의 냄새를맡고날아오는데, 이 농도가 진한쪽으로 더 잘날아가는특징이있습니다.또한 털이많은사람은 털이 모기가앉지못하게 방해하기떄문에비교적 덜 물릴가능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고래는 왜 물속에서 살면서도 포유류로 분류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고래는 다른 수생동물들과는 다르게 육지에서 살던포유류가 바닷속을 오가면서적응하며 진화해왔습니다.원래 팔다리가 지느러미형태로 변하고 폐호흡을 위해 수면위로 올라오며새끼를낳는 특징이 있습니다.그래서 물에사는 포유류에 더 적합한동물이기에 포유류로 분류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도토리나무는 왜 땅콩과 같은 콩과 식물이 아니에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도토리는 나무에서 자라나오고 단단한 껍질을가진 과육이자라나옵니다.땅콩은 콩과식물이고 풀에서 자라나오며 콩깍지안에 여러씨앗이 들어있습니다.비슷하게생겼지만 완전히 다른 식물로 진화해온 결과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백신 주사의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백신주사는 힘이약하거나 거의 반응하지못하는병원체를 몸속에 넣어주는것입니다.우리 면역체계는 이 병원체의 항원을 인식하여항체를 만들어낼 수있는 정보를얻고다음에 이 항원이 또들어오면 항체를 대량으로만들어대응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덥거나 힘든 일을 하다보면 땀이 나는데 땀은 왜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땀은 체온조절을 위해 분비됩니다.땀이 피부위에서 나온뒤 증발하면서피부에있는 열을 가지고 날아가면서 체온을 낮추는 역할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왜 바다에는 민물고기가 살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바다에서 민물고기는 염분농도 차이때문에 살지못합니다.먼저 삼투압이라는 현상은 염분농도가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물이 이동하는현상인데, 민물고기의 체액 염분농도가 낮은편이기에바다로 민물고기가면 체액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현상이 나타납니다.이 염분농도를 조절하기위해 물고기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고오래살지못합니다. 또한 염분중독에 빠질 가능성도 높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뇌파가 자기장을 생성하나요? 생성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뇌에서는 자기장을 생성합니다.먼저 뇌는 전기적신호를 통해 계속 신호를 주고받는데이러한 전기적신호의 움직임에는 항상 자기장을 동시에 생성하기에이를 합쳐서 전자기장이라고 합니다.이러한 전기적신호를 통틀어서 뇌파라고하는 EEG로 측정이 가능합니다.정리하면 뇌에서 일어나는 작용에의해전기장과 자기장은 동시에 만들어집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왜 체온은 일정하게 유지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체온을 계속 일정하게 유지하기위한 항상성덕분입니다.먼저 뇌는 혈액의 온도를 감지하는데약 소수점 두번째자리까지의 온도변화를감지할수있어 이 변화를 방지하기위한명령을 항상 조절합니다.이렇게 일정하게 유지되는 체온은효소활동역시 일정하게 반응하도록만들고대사과정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듭니다.온도가 맞지않으면 효소들의 활성도가 떨어지며신체곳곳에서 이상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