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거북이는 엉덩이로 숨을 쉴수가 있다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엉덩이로 숨을 쉴수가있습니다.배설 및 생식기관이 위치한 항문에서 산소를 흡수할수있는능력이있고, 클로아카호흡법이라고 합니다.이 클로아카에는 미세한 많은혈관이 있기때문에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주로 물속에서 겨울잠을자거나 오랜시간 잠수를할때사용하는 호흡법입니다.이러한 방식은 거북이가 수면위로 올라오지않아도장시간 물속에서 숨을쉬며 버틸수있는 능력을 만들어줍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나뭇잎의 빛바램의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을이되어 기온이 내려가면 잎 안에있던엽록체들이 서서히분해되거나, 더이상 합성이되지않습니다.이 엽록체들은 잎사귀안에서 초록빛을 내도록 만들어주는데,이러한것들이 사라지니 초록색도 함께 사라집니다.대신 그옆에있던 노란색색소인 카르티노이드가서서히 보이기시작하거나,온도가내려가 붉은색 색소인 안토시아닌이합성되기시작하면노랗고 빨간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인간처럼 구강구조를 가지지 못하면 아무리 똑똑한 짐승이라도 말하기는 힘드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인간이나 앵무새는 발성기관을 가지고있어서더 자세하고 디테일하게 말하는것이 가능합니다.인간은 성대, 앵무새를 비롯한 몇몇조류들은 시린스라고하는 기관을 갖고있습니다.이런 기관이 없으면 아무리똑똑해도 말할 수 있는 방법자체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커피만 마셨을 때 오히려 수분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커피의 카페인은 이뇨작용을 일으킵니다.수분을 보충하는것보다 더 많은양의 소변을 배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특히 물을 충분히 마시지않은상태에서 커피만 마시면 더더욱 그렇습니다.개선방법으로 커피를마시면서 물한잔은 같이 곁들여먹으면 좋습니다.또한 커피양을 하루에 2~3잔이하로 제한하는것이 좋고커피만마시는게아니라 순수한물을 계속 마셔주어야합니다.또는 디카페인커피를 마시는것도 도움이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사막에 사는 생물들은 가시나 뿔이 나 있는데, 왜 이렇게 뿔이 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선인장들은 잎의 기공을통해 수분이 손실되는것을 막기위해 그렇게 진화했습니다.또한 뿔에는 혈관을 많이 위치시키고 단독적으로 튀어나와있는 형태이기때문에 열을 방출하기좋은 구조입니다.뜨거운사막에서 적합한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췌장은 왜 다른 장기와 다르게 발견되기 힘든 위치에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췌장은 보통 위아래뒤쪽, 간왼쪽아래에 위치하여 큰 기관들사이에 숨어있는 상태이고, 몸속에서 고정되어있는것이아니라 일부는 흐느적거리며 달려있기때문에 영상진단장비를 통해서도 제대로 찾아내거나 멈춰진 모습을 정확히 촬영하기가 어렵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닭이 먼저인가요? 달걀이 먼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최근연구에따르면 최초의 닭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화석증거를 발견했고, 그최초의 닭은 알이 최초의 달걀이므로 닭이 먼저라는 의견이 나왔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메뚜기들은 어떻게 겨울준비를 해서 봄에 태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메뚜기들은 주로 겨울에는 알의 형태로 겨울을 나거나 성체들은 살아서 겨울을 나는경우가 매우드물다고합니다.보통 암컨이 땅속이나 낙엽아래 알을 낳기에 겨울동안에도 알이 안전히 있다가 봄에 부화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돌고래의 경우는지능도 높고 서로간에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돌고래는 오랜시간 진화해왔고 최근에등장한 생명이기때문에 어느정도 지능이높습니다.최근 등장한 생물들은 더 많은 대뇌피질영역과 뇌신경작용이 일어나기때문에 서로 의사소통까지도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단풍 색깔은 왜 나무마다 가지각색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선 단풍의색은 노란색을띠는 카르티노이드나 붉은색또는 보라색을띠는 안토시아닌등이 섞여서 정해집니다.노란빛과붉은빛이 반반이라면 주황색이되고, 나머지 다른색도 색소의 비율에따라 달라집니다이는 햇빛이 먼저닿고, 안닿고, 위아래높낮이 기온차이 등 다양한이유에의해 정해지기에 알록달록한 색이 나옵니다.감사합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