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인간은 거꾸로 메달려있을경우 어떤문제가 있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거꾸로 메달려있는경우 상체쪽의 혈압이높아지고 하체쪽말초에는 혈액이 많이도달하지못해 혈행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오리너구리는 조류와 포유류 중에 어디에 더 가깝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오리너구리는 포유류로분류됩니다.물론 다른포유류와는 다르게 알을낳는다는것이 특이하긴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바퀴벌레는 뜨거운 물에 박멸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도 유기물로이루어져있기때문에 고온의열을 버티지는못하고 죽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의식이라는 것을 측정할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의식은 측정가능하지않고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많이들어있습니다.그나마 주관적인 판단에도 기준과 메뉴얼을 세워두긴해서 응급실이나 응급상황에서 활용하기는합니다.뇌파를통해서도 의식의상태를 정의하려하긴하지만 잘 맞지는않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쇠똥구리가 멸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선 쇠똥구리가 알을낳고 살아갈수 있는 소똥자체가 많이줄어들고, 도시화가많이진행되어 살아갈곳을 점점잃어갔기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대기오염이 인간의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최근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나 질소산화물이 뇌로이동해 뇌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거나 스트레스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가 존재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줄기세포라는것은 어떤것을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줄기세포는 어떠한세포가되기전 여러갈래의 세포가될 수 있는 전단계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크게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가있는데, 배아줄기세포는 모든세포로분화할수있는 잠재력이있고, 성체줄기세포는 예를들어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등등 다양한 혈액관련 세포들의 중간단계같은 특정조직의 줄기세포입니다.그래서 혈액성체줄기세포, 피부성체줄기세포, 신경성체줄기세포 등등 다양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우리 인체에는 정말 바이오리듬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생체주기나 활동주기등이 있고, 밤이되어 빛이줄어들면 졸음이오게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등의 활동이 존재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몇백만년 전 유인원의 뼈를 보고 이족보행을 하는 지 알아내던데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주로 발바닥의넓이나 골반과대퇴골의 경사, 회전방향, 척추의 모양등을통해 알 수 있습니다.특히 직립보행을하는 유인원의 척추모양은 완충작용을 위해 S자모양을 하고있는것이 특징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해양 생물들도 지구 산소공급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해양생물 중 조류는 광합성을 하기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반응을합니다.조류는 흔히 우리가먹는 김이나 다시마, 미역등이 이에 해당되기도합니다.또는 남세균이라고부르는 고대미생물역시 바다에사는데 이친구도 산소를 생산합니다.감사합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