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인체에서는 부피와 무게만따지면 간이 가장 큰 기관입니다. 오른쪽갈비아래위치하고 상당히 큰 너비로존재합니다.길이로따지면 장이 가장 큰 기관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산호초가 해양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산호초는 몇몇물고기와 공생을하여 마치 물속의 숲과같은 역할을 합니다.또한 바닷속의 탄소를 이용해 자신의 신체를구성하며 고체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지구상의 이산화탄소를 줄여주는 역할을합니다.즉, 전세계생태계에도 영향을 주고있다고 볼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파충류는 피색깔이 초록색이라고 하는데, 왜 그런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인간을 비롯한 붉은피를지닌 동물들은 산소운반매개체로 철이온을 활용하는 헤모글로빈이 있습니다.산소가결합된 철인 산화철의 색이 빨개서 붉은혈액으로 보입니다.반면파충류는 철이아닌 구리를 이용하기때문에 산화구리의 색인 푸른색이 나타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은행나무는 단풍이 노란색이고, 단풍나무는 붉은색인데 왜 이렇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온도가 내려가면 엽록소생성이 중단되고 기존엽록소는 분해되어 초록빛을 잃어갑니다.이렇게되면 엽록소옆에 같이 존재하던 노란색소인 카르티노이드가 노출되며 노란잎이됩니다. 은행나무는 카르티노이드가 주로남아서그렇습니다.또한 다른나무에서는 기온이내려가면 붉은색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새로생성되는데, 이 비중이 높으면 단풍나무처럼 붉게 물듭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태양볕이 뜨거운 사막과 흐린 우기가 많은 밀림의 생물들의 면역력의 차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면역은 수분과 온도에 상관관계가 있긴합니다.사막지대에서는 수분이 매우적고 온도가 높아 호흡기관련질환이 잘생깁니다. 주로 낙타에서 옮겨오는 중동호흡기증후군인 메르스와 같은것이 많습니다.밀림에서는 습도가높으면서도 온도가높아 벌레나 박쥐들에의해 옮겨지는 바이러스가많습니다.즉, 면역력이 어디가높다는 말할수없지만 각각환경에맞는, 작용기전이나 전파방식이 다른 병원체들이 각각존재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청개구리는 보호색을 뛰는데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청개구리의 피부표면에서는색소를이용한 색깔변화가 가능합니다.멜라닌세포와 크로마토포어가 주로작용하는데,주변이 녹색이면 크로마토포어가 활성화되어 초록빛을띠고, 갈색이면 멜라닌세포가 활성화되어 갈색빛을 띱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육지 생태계와 해양 생태계는 어느정도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육지는 보통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물의 유무가 불규칙적이라수분을 보유하는 능력이 발달되어있습니다.또한 산소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호흡을통해산소를 쉽게공급받습니다.해양생태계는 보통 계절적인 기온변화가 거의없습니다.또한 수분도 항상 존재하기에 수분부족에 대한 걱정이 없습니다.산소는 수온과 수심에따라 달라지기때문에오히려산소를 공급받는데 신경을 써야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야생동물관련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야생동물들도 취할수있고, 주로 알콜탈수소효소에 의존하여알코올을 분해합니다.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변환시키고 아세트산으로바꾸어에너지생성에 활용합니다.특히, 과일을 먹는 동물들에게서 이런 효소의 발달이이루어졌다고합니다. 보통 발효된 과일이자연적으로 알콜을 생성할수있고,이 알콜을 독성으로 인식하여 분해하고자하는진화적 노력이 들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가위눌림과 몽유병의 차이와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위눌림은 뇌는 활발히 활동하고있지만몸은 움직이지않는 근육마비증상 중 하나입니다.렘수면단계에서 꿈을꿀때 뇌의 활동은 매우 활발해지지만근육의 마비가 진행되고있어 움직일수없게됩니다.몽유병은 반대로 깊은잠에빠져있지만 행동을 취하는 현상으로비렘수면단계에서 신체가 움직이는 경우입니다.즉, 뇌의활동과 신체의 움직임과의 불협화음떄문에 발생하는 현상들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자각몽을 꾸는 이유와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자각몽을 꾸는 이유는 꿈을꾸는동안에 전두엽이 활성화되고자기인식이 이루어지기때문이라고합니다.또한 꿈을 일기처럼 기록하거나 현실세계를 점검하는루틴등을 만들어두면 꿈속에서 자각몽을 유도할 수있는 훈련이 되기도 한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1611621631641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