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0월 16일 작성 됨
Q.
펭귄은 왜 북극에는 없고 남극에만 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펭귄은 남극과 남극주변 남아프리카나 남미끝단에 서식하며 살아갑니다.주로 육지로된 고향과같은 서식지가 정해져있고 매년 그곳으로가 번식과 생장이 이루어집니다.또한 애초에 남극주변에서 서식지가 결정되고 살아오던종이기때문에 무더운지역을 지나 북극까지 도달해서 살아가야할 이유가 없었기때문에 북극에서는 발견되지 않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뇌가없는 해파리는 뇌를 대체하는 기관이 따로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해파리에게는 뇌나 중추신경이 따로없고 그물구조로된 신경망 또는 신경다발을통해 명령을 수행합니다.고등중추가 없기때문에 기억이나 생각등은 할수없고 단순히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에대해 반응하는 운동신경들이 온몸에퍼져있는 형태입니다.그냥 아무생각없이 자극에 반응하며 살아가는 개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음지 식물은 왜 양지 식물보다 광보상점 광 포화점이 낮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선 음지식물도 광합성을통해 양분을 얻어야하기때문에 빛에너지가 필요하긴합니다.하지만 음지에살다보니 빛을 더 민감하게 감지하고 이 적은 빛을통해서라도 광합성을 해야만합니다.이렇게 빛에민감하고 적은빛에도 쉽게 광합성을 할수있는 특징이 바로 낮은광포화점입니다.낮은 광포화점, 즉 역치가 낮다는 의미가됩니다.반면 양지식물들은 더 강한 빛에만반응하는 광포화점이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또한 음지식물들은 양지식물과다르게 엽록소농도와밀도가 달라 쉽게 반응할 수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식물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물을 높은 곳까지 올릴수 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모세관현상은 물의 특별한성질에의해 발생합니다.물분자는 서로 강력한 인력을 만들어내기때문에 뭉치려는 특성이존재하고 물방울이 만들어지는 이유가 이것입니다.이러한 물이 좁은관에들어가게되면 우선 물분자가 벽쪽에 달라붙으며 약간올라가게됩니다.이내 물분자끼리 인력이 더 강해 서로뭉치려하면서 붙어있는 벽의 높이보다 더 높이 뭉쳐지게됩니다.이후 뭉친곳에서 벽에다시달라붙으며 더 높이올라가고 이 과정이반복되며 특정높이까지 물이 올라갈수있게됩니다.또한 나무안에는 이런 모세관현상뿐만아니라 줄기내부에 음압이잡혀있어 진공에너지에의해서도 물이 빨아올려집니다.우리가 빨때를 이용할때 빨때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만들어주는것과 같은 원리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사람의 혈액형이 다르듯이 동물들도 혈액형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람과마찬가지로 고양이나 강아지, 돼지, 원숭이등등동물들도 다양한 혈액형을 가지고있습니다.심지어 강아지는 인간보다도많은 혈액형종류를 갖고있기때문에 수혈하기가 더욱 까다로운특성도 있습니다.고양이는 A형과 B형 AB형 세가지종류의 혈액형을 가지고있고 특히 AB형은 매우 희귀한 혈액형이라 거의 두가지 혈액형을 가지고있다고도 볼수있습니다.돼지는 16개의 항원종류를 가지고있어 서로다른 두 돼지의 혈액형을 매칭시키기는 사실상 매우어렵고 교차적합성시험이라는 과정을통해 면역반응이 최소화되는 종끼리 수혈이 가능하다고합니다.이처럼 다양한동물들이 다양한 혈액형을 가지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나무는 어떻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나무는 동물처럼 움직이며 먹이를 섭취하는 활동을 하지못하기때문에 광합성이라고하는 특수한 양분획득활동을 합니다.광합성은 나뭇잎안에있는 엽록소가 태양에너지를 받아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을이용해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입니다.이산화탄소는 열려있는 나뭇잎의 공기통로인 기공을통해서 잎밖과 안쪽을 왔다갔다합니다.이렇게 합성된 산물인 산소는 다시 이 기공을통해 바깥으로 배출됩니다.크게보면 기체상태의 탄소를 고체상태로 가둬두는 역할을 하는것이 나무이고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제거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 숲은 굉장히 중요한역할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가을에는 왜 나무들이 단풍이 드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을이되어 기온이내려가면 엽록소들이 새로 합성되지않고 기존에있던 엽록소는 서서히분해되어 초록빛깔을 잃어갑니다.반면 엽록소와함께 존재하는 자연색소인 안토시아닌이나 카르티노이드는 그대로남아있어 상대적으로 색깔이 짙어지기 시작합니다.이러한 붉은색과 노란색 색소가 점점짙어지며 우리가알고있는 단풍이 들기시작합니다.그러다가 수분을 점점잃게되면 갈색으로변하며 결국 떨어져 낙엽이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산호초는 식물인가요?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산호는 제자리에 가만히 있는것처럼 보여서 식물같지만 사실은 동물입니다.산호폴립이라고하는 자포동물의 일종이 옹기종기모여서 서로 살아가고있는 모습이고, 촉수를 이용해서 바닷물속에 떠다니는 플랑크톤을 섭취하며 살아갑니다.또는 산호세포내부에 공생하는 조류로부터 광합성양분을 받아 공생하는형태로 살아가기도합니다.그래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해서 바다속의 숲이라고 불리기도합니다.최근 지구온난화르인해 산호들이 죽어가고있고 이 죽은영향으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들지않고있어 네거티브 피드백이 가속화되고있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우리 사람 머리카락은 어떤 성분으로 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의 머리카락은 케라틴이라고하는 단백질이 90퍼센트이상 차지하고있습니다.이 케라틴은 단단하지만 유연한특성도 가지고있어 손톱이나 발톱처럼 딱딱하지만 강한힘을주면 약간휘는 성질을 보입니다.그래서 머리카락도마찬가지로 질기지만 한가닥은 쉽게끊어지기도합니다.나머지는 수분이10~15퍼센트의 함량을 차지하고있고 미량의 지방, 미네랄이 존재하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4일 작성 됨
Q.
가을의 중턱에 설척선 지금 이웃집 뜰앞에 수세미가 대롱대롱 열려있네요 오이처럼 생긴 것이 먹을 수도 없다네요. 그러면 수세미는 어디에 쓰려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수세미오이는 다익기전에 수분함량이많을때 볶음이나 튀김, 국에넣어먹기도 합니다.다익어서 말라가기시작하면 내부 그물망구조가 단단하게 남으면서 우리가 실제 주방에서 사용하는 수세미모양으로 남게되고, 실제로 옛날에는 이 자연수세미를 이용하기도 했다고합니다.익어버리면 식용으로 활용하기 너무어렵기때문에 반드시 익기전에 부드러울때 먹어야합니다.감사합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