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왕은 모두 몇명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군주는 1대 태조부터 25대 철종까지 입니다.1대 태조(1392년~)2대 정종(1399년~)3대 태종(1401년~)4대 세종(1418년~)5대 문종(1450년~)6대 단종(1452년~)7대 세조(1455년~)8대 예종(1468년~)9대 성종(1469년~)10대 연산군(1494년~)11대 중종(1506년~)12대 인종(1545년~)13대 명종(1545년~)14대 선조(1567년)15대 광해군(1608년~)16대 인조(1623년~)17대 효종(1649년~)18대 현종(1659년~)19대 숙종(1674년~)20대 경종(1720년~)21대 영조(1724년~)22대 정조(1776년~)23대 순조(1800년~)24대 헌종(1834년~)25대 철종(1849년~)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왜 항복을 백기로 표현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항복할 때에 백기를 들어 올리는 것은 이 백기에 물을 들여 당신의 국기를 만들어도 좋다는 의미에서 항복으로 쓰인다고 합니다.또한 전쟁중에 항복을 하기 위해서는 눈에 잘 띄고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백기가 이에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삼국지의 황충은 실제 노장이 맞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황충은 220년에 사망하나 태어난 해는 미상입니다.관우가 장사를 공략할 당시 삼국지 연의에 의하면 둘이서 일기토를 벌였다고 되어 있습니다.당시 나이는 60살은 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왜냐하면 정군산에서 황충이 하후연을 목베었을 때 당시 전장에 나가는 것을 만류하던 유비나 제갈량에 말에 의하면 황충의 나이가 일흔살을 넘었는데 장사공략은 그보다 십년이 더 전의 일입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가 조선에 원군으로 파병한 규모는 몇 명이나 됐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명나라는 임진왜란시 조선에 원군으로 약 5만 명, 뒤이은 정유재란때에는 약 10만 명의 군사를 보냈습니다. 이중에 절반이상은 모병을 통해 징집한 군사였기에 정예라고는 볼 수 없었습니다.유성룡의 보고에 따르면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군사력은 장부상으로 볼 때 4만 7천 820명이었습니다. 일종의 예비군인 보인은 9만 7천 8백 명이었습니다. 하지만 군역의 폐단이 극심했음을 볼 때 아마 장부상의 기록일 뿐 이보다 더 적었을 것입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율곡 이이가 10만 양병설을 이야기한 시기가 임진왜란 발발 몇 년 전쯤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이이는 1583년 병조판서가 되어 선조에게 시무육조와 십만양병설 등 개혁안을 올렸습니다.군제 개혁을 포함한 조선의 전반적인 체제에 대한 개혁안이 담겨 있었습니다.군역은 양반들에게 부과되어 있었지만 그들은 갖은 편법으로 면제를 받았습니다. 이이의 십만양병설은 이러한 군역의 폐단을 지적하고 있었기에 당시의 지도층은 이를 탐탁치 않아했습니다. 겉으로는 ‘아무 일이 없는데도 군사를 양성하는 것은 곧 화근을 기르는 것이다.'라는 이유를 들어 반대했습니다. 임진왜란은 그로부터 십년인 1592년에 발발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아산 정주영회 장의 학창시절은 어떤 사람이었는지 역사적 기록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정주영 회장은 가난한 농부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6남매중 첫째로 장남이기에 초등학교를 졸업하고나서부터 집안일을 해야 했습니다. 결국 정규교육은 제대로 받지 못하였습니다.정주영 회장은 농사일보다 더 큰 세상에서 일하는 것을 꿈꾸었기에 가출도 여러번 했다가 다시 잡혀 돌아오곤 했습니다.결국 16살때 집을 떠나 서울로 올라와 쌀집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몇년뒤 그의 성실성을 알아온 쌀집 주인이 그에게 가게를 넘겼습니다. 그 이후부터 사업가로서의 정주영의 삶이 시작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박혁거세왕은 정말로 알에서 태어났나요? 아니면 그냥 소설쓴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설화는 은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 시조 단군설화에서 곰과 호랑이가 백일동안 마늘과 쑥을 먹고 호랑이는 못버티고 달아나고 곰은 웅녀가 되어 환웅과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설화또한 선주족인 호랑이 부족과 곰 부족중에 곰 부족과 연합하여 고조선이 탄생되었다는 역사에 대한 은유입니다.박혁거세의 난생설화또한 건국자에 대한 신비함을 강조하기 위함이지 실제로 알에서 태어난 것은 아닙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불교는 인도에서 왔나요 ?? 불상은 언제부터 만들어져 퍼져나갔는지요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한 소국의 왕자인 고타마 싯다르타에 의해 창시된 종교입니다.최초의 불상은 석가상으로 코삼비국의 우다야나왕이 향나무로 석가의 모습을 조각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나라가 제국이라고 칭할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어떠한 나라가 스스로를 '제국'이라고 칭하고 군주를 '황제'라고 하기에 기준같은 것은 없습니다.다만 과거에 중국은 주변 국가들에게 중화의 천하관을 내세워 황제와 제후국 관계를 설정하고 조공관계로 국교를 맺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외교적 실리등을 이유로 황제가 아닌 '왕'으로 칭했습니다. 이후 황제를 칭하고 제국을 내세운 것은 오히려 국력이 가장 약소하고 주변국들에 의해 이권이 침탈당하기 시작한 조선말기였습니다. 이때 조선왕은 스스로를 '황제'로 조선을 '대한제국'이라 칭하였습니다.따라서 스스로의 필요성이나 목적에 의해서 황제를 칭하고 제국을 내세우는 것이지 어떠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역사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순장은 언제부터 자리잡은 장례문화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고대 한반도에서는 3세기 후반 금관가야에서 처음 출현하였으며, 5세기에 아라가야, 대가야, 비화가야, 신라 중앙과 지방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성행하다가 6세기 중엽에 소멸되었습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