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자격증
Q. 사회복지사가 일 할 수 있는 기관이 궁금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처우는 노동 강도에 비하면 그렇게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근무하느냐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급여가 많지는 않습니다. 2024년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 호봉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은 급여보다는 사명감, 자아실현을 목적으로 하지 않나 생각듭니다. 대기업 사회공헌팀, 기업 산하 사회공헌재단, NGO,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노인복지센터, 시니어클럽,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요양원, 어린이집, 보육원, 아동상담소, 아동복지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 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폭력상담소, 여성쉼터, 모자원, 장애인복지관, 정신요양원, 재활센터, 특수학교, 병원,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프리랜서로 근무가능할까요?
실질적으로 직종이든 소속되어 있어야 하며 프리랜서로 활동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진출 분야아동복지, 노인복지, 여성복지, 학교사회복지, 장애인복지, 지역사회복지, 의료사회사업, 정신보건사회사업 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지역 사회 내 클라이언트를 다뤄야 하고 엄청난 행정업무를 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끊임없는 민원인들과의 분쟁 등을 살펴보면 일의 노동 강도는 크게 달라지진 않는다고 합니다. 어떤 분야가 됐든 업무량을 많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Q. 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보통 어떤 업무를 하게 되며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공부들이 업무에 많이 연결되나요?
복지관 같은 경우 담당하는 업무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사례관리, 지역조직화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총무, 경영팀이 합해지면 4개 정도의 팀이 조직되어 운영됩니다. 서비스 제공 사업팀에서는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을 합니다. 지역조직화팀의 주요 업무는 주민들과의 관계형성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노인일자리사업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사례관리팀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조사해서 반영하는 일을 합니다.기본적인 한글, 엑셀, ppt 등을 잘 다룰 수 있다면 업무에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사회복지사 자격증에 관심이 많은데요 실습은 어떻게 합니까
학점은행제를 통해 사회복지사 취득을 준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해당 과정을 통해 사회복지사를 취득한다고 해도 현장 실습은 동일하게 이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직장인이라면 평일에 실습을 진행하기 힘든 여건일 수 밖에 없겠습니다. 노인, 아동, 장애인 거주시설 같은 곳에 연락을 해서 주말에만 실습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하면 조율이 가능할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모든 실습생들이 실습기관은 본인이 알아봐야 합니다. 학점은행제에서는 다른 교과목과 동일하게 수강신청을 하고 '사회복지 현장실습'과목을 이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사회복지사가 어느 영역까지 일을 할수 있는건가요?
사회복지사의 활동 범주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사는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인, 의료, 정신보건 영역 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근무할 수 있는 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지관, 사회복지 센터, 병원, 요양병원, 학교, 아동/청소년/장애인 거주 시설, 요양원, 대기업 사회공헌팀, 공단, 사회복지재단, 사회복지직 공무원 등으로 매우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