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양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전문가입니다.

이양균 전문가
에치엠로지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 용어로 임페리얼 마케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임페리얼 마케팅(Imperial marketing)이란 경쟁 제품보다 우수한 품질과 서비스,높은 가격을 강조하면서 고급 이미지를 내세워 소비자를 공략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품질을 가장 중요시하는 소비자층이 주 타깃인데요.자동차나 고급 의류나 화장품 등 기본적으로 고가인 제품들뿐만 아니라 라면, 우유, 과자, 운동화 등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제품들 또기존 제품보다 가격을 올려 차별화된 고급 품질을 앞세운다고 합니다.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으로 판매율만을 올리려는 ‘가격파괴’와 정반대의 개념이라고 합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마이너스 통장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마통 = 마이너스통장​통장에 잔액이 0원이 되면 더 이상 돈을 쓸 수 없는 게 ​일반적인 통장!​통장에 잔액이 0원이 되어도 정해진 금액만큼 더 쓸 수 있는​ 게 마이너스 통장!물론 마이너스 통장도 대출입니다.​대출은 일정 금액을 한 번에 받는 것이고​마통은 잔액 0원 보다 돈을 더 쓰면 대출!이상이면 저축! 이 됩니다아주 쉽죠~~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에서 사용되는용어로 콜금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융기관들 사이에서 영업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30일 이내의 짧은 기간동안 빌려주거나 받는 것을 '콜'이라고 일컬으며 이 기간동안 사용한 돈의 이용료(금리)를 콜금리 라고 말합니다.이 콜금리의 인상이나 인하가 다시 시중 금융권의 예적금 금리, 대출 금리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인 것입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 용어로 사용되는 윔블던효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윔블던은 영국인들만의 대회였지만 외국인 선수들의 참가를 허용시키면서 우승은 대부분 외국인들한테 빼앗기는 꼴이 되었습니다. 이에 많은 영국인들이 외국인을 위한 대회로 전락해버린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많아졌는데요. 이러한 현상을 경제와 연관시켜 해당용어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쉽게 설명해 드리자면 시장을 개방한 이후 국내시장을 외국계 자본이 잠식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이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는 1986년 마가렛 대처 총리가 시행한 금융시장 규제완화 조치였습니다. 이는 런던의 증권시장이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위협받기 시작할 때 영국은 은행과 증권업 간의 벽을 어물어내고자 외국 금융회사의 시장 진입을 전면적으로 허용했습니다. 그로 인해 금융회사 간의 경쟁이 활성화되고 시장 자유화 대책을 통해 금융 시작을 개혁해낸 바 있는데요.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국은 다시 세계적 중심 금융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생긴 부작용도 상당했는데요. 영국의 많은 금융회사들이 외국계 자본에 의해 인수되기도 하고 외국의 대형 금융회사들이 대부분 영국에 진출하게 되면서 영국 금융시장에서 외국자본의 영향력이 기존보다 훨씬 커지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자국에서 자생력이 약했던 기업들에 의해 인수합병이 되는 등 자연스럽게 외국 자본이 영국 금융시장 전체를 장악해버리게 된 것인데요. 당시에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관련 기사들을 다루며 윔블던 대회를 언급했고 그 이후 이와 같은 효과를 설명할 때 자주 인용되게 된 용어가 바로 윔블던 효과입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 용어에서 넛크래커는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넛 크래커(Nut-cracker)의 원뜻은 딱딱한 호두를 양쪽에서 눌러 까는 호두깍는 기계를 말합니다. 힘을 가하면 호두를 양쪽으로 물고 있는 기계의 압력에 의해 딱딱한 호두가 깨지는 원리인데요. 이렇듯 한 나라가 어떤 나라들 사이에 끼어 압력을 받으며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을 가르켜 시사경제용어로 넛크래커라고 합니다.​예를 들어 한 나라가 기술력과 품질의 경쟁력에서는 선진국에 밀리고, 가격 경쟁력에서는 후발 개발도상국에 밀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1990년대 한국이 기술력에서 일본 제품들을 따라 잡지 못하고, 가격면에서는 중국 제품들을 당해내지 못하던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1997년에 IMF 외환위기가 대한민국을 강타했을 때 미국의 부즈앨런&해밀턴 컨설팅업체의 보고서에서 "한국이 저가 공세의 중국과 고급 기술의 일본 사이에서 협공을 받으며 넛크래커에 꽉 붙잡힌 호두가 되었다" 라고 표현하며 한국의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었죠.​다행스럽게 위기에 강한 대한민국은 '금모으기 운동' 등으로 온 국민이 똘똘 뭉쳐 슬기롭게 IMF위기를 헤쳐나가기도 했습니다.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