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양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전문가입니다.
이양균 전문가
에치엠로지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1월 12일 작성 됨
Q.
미래 경제를 이끌산업군은 과연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래 산업을 이끌어 나갈 산업군이 궁금하시군요.과거를 판단하는건 있었던 사실이어서 쉽지만 미래를 예측하는건 상당히 어렵네요~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미래 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1. 무인운송수단2. 3D프린티3. 첨단 로봇공학4. 신소재5. 사물인터넷6. 블록체인7. 합성생물학8. 유전공학9. 공유경제10. 바이오프린팅총 10가지를 선정해보았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3년 1월 12일 작성 됨
Q.
뱅크런 현상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뱅크런(bank run)은 은행이 기업에 대출해 준 돈을 돌려받지 못한다거나, 주식 등의 투자 행위에서 손실을 입어 부실해지는 경우, 은행에 돈을 맡겨 두었던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돈을 찾아가는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의미합니다.이 같은 현상의 원인은, 파산의 위험이 높은 부실 은행에게서 파산 후에 돈을 받지 못할 위험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돈을 확보하고자 하는 예금주들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3년 1월 12일 작성 됨
Q.
한국의 빈부격차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빈부격차가 심하다 ! 이말에서 기준이 어디에다 두느냐에 따라 다릅니다.지구상 어느나라도 빈부격차가 없는 나라가 없죠.열심히 산다고 해서 무조건 잘사는것도 아니고 게으르다고 못사는것도 아니지만 확률상 성실할 수록 가난에서 벗어날 확률도 높다고 봐야죠. 교육환경이나 주변환경 등에 따라서요.한국이 빈부격차가 심하다면 어디 잘 사는 북유럽과 비교하면 맞을 수도 있지만 미국 역시 빈부격차가 심하답니다.아무튼 보통 비교를 할 때 한국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하기에 그런 말이 나올 수도 있죠.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빈곤층이 많고 적고는 기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12일 작성 됨
Q.
현물과 선물의 차이점이 뭐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차이를 보유기간/ 수익/종목수/미수액으로 나눠서 설명을 드릴게요!1. 현물1) 보유기간 : 해당종목이 상장폐지가 되기 전까지는 원하는 때까지 보유가 가능합니다.2) 수익 : 상승할 때만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3) 종목 수 :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종목이 3천 여 개 되는데 그 중에서 선별해야 합니다.4) 미수액 : 종목에 따라 보유 주식의 최대 3배정도까지 미수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수사용은 자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미수상태에서 -10% 손실이 나면 실제로는 -30% 정도의 손해를 봅니다.2. 선물1) 보유기간 : 만기일에 강제 청산되어 없어집니다.2) 수익 :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 모두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3번 내용 참조)3) 종목 수 : 지수선물은 근월 물만 매매하며, 주식선물은 코스피200 중에서 상장되어 있어 종목수가현물에 비교하여 매우 적습니다.4) 미수액 : 최대 7배까지 미수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선물의 미수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10% 정도의 손실이 나면 깡통을 찬다고 보면 될 정도로 위험합니다.
경제용어
2023년 1월 12일 작성 됨
Q.
경제용어로 테이퍼링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는 경제용어다. 초저금리 상태에서 경기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 화폐를 찍어 시중에 공급하는 양적완화의 규모를 점차 줄여나가는 것을 가리켜 테이퍼링이라 한다. 2013년 5월경 당시 미국 연준 의장인 벤 버냉키가 청문회에서 처음 언급하면서 글로벌 경제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경제용어입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