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금융 관련 신조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헤지(헷지, Hedge) :투자에서 헷지는 미래에 발생할 가격변동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안전장치. 투자에서 미래에 발생할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다른자산에 투자하여 가격변동을 완화시킨다는 뜻.쉽게말해 헤지는 분산투자의 기본 개념으로, 각기 다른 성향의 자산에 투자해서 위험을 분산하는 것.ex) 주식시장의 리스크가 걱정될 때 채권에 투자하는 채권헤지, 화폐가치가 떨어질 때 금에 투자하는 금헤지, 원화의 가치가 떨어질 때 다른나라의 화폐에 투자하는 화폐헤지 등IPO(In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일정 목적을 가지고 자사의 주식과 경영내용을 공개하는 것.(기업이 주식시장에 공식적으로 상장한다)일정 규모의 기업이 상장절차 등을 밟기 위해서 행하는 외부 투자자들에 대한 첫 주식공매.- 왜 공개라고 하나?: 상장기업이 되려면 회계정보, 기업내부정보 등을 공시해야 하기 때문.-> IPO를 마친 기업은 코스피, 코스닥 등의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하게 됨.- IPO를 하는 이유?: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해서. 보통 IPO는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역환율 전쟁(Reverse Currency War) :자국의 통화가치를 높이려는 움직임. 세계 각국이 자국의 통화가치를 지키고자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이에 해당됨.- 자국의 통화가치가 하락하면(환율이 상승하면)?① 더 많은 돈을 내고 수입을 해야하므로, 물가가 오르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심화됨.② 달러 유출을 유발함. 투자자들이 안전한 달러로 이동하기에 달러가 유출되며, 달러유출은 환율은 더 상승하게 됨
주식·가상화폐
Q. 경제 용어 중에 '유동성 장세'라는 말이 있는데..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동성 장세가 무슨말인가요?=> 유동성 장세는 '금융장세'라고도 하며, 쉽게 말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이 돈의 힘으로 주가가 오르는 것입니다. 기업의 실적이 뒷받침 되어 주가가 오르는 장세를 가리켜 '실적장세'라고 합니다.그리고 유동성 장세가 약해지는 것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린다거나, 시중 통화량을 줄인다라는 이야기가 나오면 약해진다고 이해하시면 거의 확실합니다.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가 미국 금리를 올리면 거의 99.9%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