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에서는 물가를 잡기위해 어떤정책을쓰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부는 소비자물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습니다.예를들면, 소비자물가 목표제 운용 및 이에 따른 통화정책 운용, 금리정책 점검, 부동산시장 안정 대책, 전기요금 같은 가격인상 인허가제도, 유류세 인하, 가격 인상 단속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 정책, 독과점 시장 구조 완화를 위한 공정거래 지침 시달 등 다양한 분야의 물가 안정 대책들이 있습니다.
Q. 미국에서 불리는 매파와 비둘기파의 개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매파(hawks)는 대외적인 외교정책에 있어서 강경하게 대응을 하자는 강경파를 말하는 것이구요. 비둘기파(Doves)는 이와는 반대로 부드럽거나 평화로운 대응을 하자는 온건파를 말하는 것입니다.매는 보통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새로 다른 새들을 잡아먹거나 하지만, 비둘기는 우리의 일반적인 인식으로 평화의 상징이라는 의미가 있어서 위와 같이 쓰곤 합니다.금리라는 것은 이자율을 말하는데요. 미국의 모든 은행들의 최종적인 형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중앙은행입니다. 미국연방준비위원회라고 부릅니다. 짧게는 미연준이라고도 부르고요.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은행과 같은 곳입니다. 미국 달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곳이죠.그래서 이 미연준에서는 한 나라의 모든 금리의 움직임을 바꿀 수가 있는 기준금리라는 것을 정합니다. 이 기준금리가 바뀌면 그에 따라 미국 내의 모든 금리들도 바뀌고, 그에 따라 모든 나라도 영향을 받습니다. 이유는 전세계의 기준이 되는 통화인 기축통화가 바로 미국달러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돈과 관련된 대부분의 거래는 은행을 통해서 일어나고, 모든 금융자산들도 여기에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은행의 금리, 그리고 이는 당연히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와 연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