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양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전문가입니다.

이양균 전문가
에치엠로지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복리의 마법이라는데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복리는 단리보다 이자가 누적으로 붙는 것을 의미합니다.이자가 누적으로 붙으니까 단리 이자보다 돈을 더 많이 모으게 되죠.그것을 두고 '마법처럼 돈이 불어난다' 라는 의미로. 과장되게 말하는 겁니다.풀어서 써보면.복리의 누적이자로 돈을 불리는 자는 재산을 많이 모을수 있으리라~ 정도로 생각할수 있겠군요!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소유 중인 하드웨어 사용자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되 구독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새롭고 빠르고 자주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과 암호화폐의 근본적인 차이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암호화폐와 주식은 엄밀히 말하자면 비슷한건 전혀 아닙니다. 시세가 변동되는것 정도가 비슷하죠.주식 같은 경우에는 쉽게 말하자면 그 회사의 지분같은것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주주들에게 지분을 파는것을 말합니다. 그러고 회사가 이익을 보면 배당금을 나눠주죠. 주식이 아무리 위험하다고 해도 주식을 시장에 내놓거나 상장시킬 수 있는 회사들은 대부분 어느정도 안정성을 유지해줍니다. 이게 바로 암호화폐와의 차이점이죠.그에 반해 암호화폐는 '기술'로 만들어진 화폐입니다. 최근에 조금씩 통용되기 시작했으나, 아직까지는 절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없고 오히려 투기의 목적에 가깝죠. 게다가 채굴량도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밑천이 드러나니까 급락하는겁니다. 게다가 가격변동이 심해 안정성이 심하게 떨어지죠.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4차산업혁명은 aicbm으로 대변됩니다a는 ai를 의미하는 인공지능i는 iot로 사물인터넷c는 클라우드b는 빅데이터m은 모바일한국에서는 이렇게 쓰는데 해외에서는 일부변경해서 쓰기도 하는걸봤습니다​인공지능은 얼마전 이세돌과 인공지능이 바둑대전을하면서 유명해졌죠? 스스로 학습을통해 진화한다는 것으로 홍보하곤합니다​iot는 인터넷오브띵즈로 각각을 ip를 부여하는것처럼 개별적으로 컨트롤할수있게하여 종국에는 사물간 통합 컨버전스를 통해 더큰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논문이 다수발표되었습니다​블록체인은 탑다운 방식에서 엔드유저단이 보안에 참여하여 신뢰성을 높인 기술입니다​빅데이터는 방대한양의 데이터를 분석해 의미있는 데이터를 얻어내는 것을말합니다블록체인을 깊이 들어가면 끝이 없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ETF의 정의가 무엇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ETF의 사전적 정의먼저 ETF의 정의부터 살펴보겠습니다.ETF는 'Exchange Traded Funds'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는 의미인데요.​ETF(Exchange Traded Funds: 상장지수펀드)상장지수펀드로 특정지수를 모방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산출된 가격을 상장시킴으로써 주식처럼 자유롭게 거래되도록 설계된 지수상품출처: 네이버, 지식경제용어사전위의 정의에서 살펴볼 수 있듯, ETF의 가장 큰 특징은 1) 특정 지수 및 특정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로 2) 증권사 HTS 등을 통해 '일반 주식과 같은 방식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쉽게 말해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로, 특정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펀드를 만든 뒤, 거래소에 상장하여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도록 한 상품입니다. 따라서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모두 취하고 있답니다.2. 편리하고 다양하게 투자한다 - ETF의 구조​인덱스 펀드란?ETF는 펀드 중, 인덱스펀드를 주식으로 만들어 상장시킨 것인데요.바쁜 현대인들에게는 복잡한 개별 주식을 분석하고 투자하는 것이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죠. 수익률 등락에 상대적으로 크게 신경 쓰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바로 인덱스 펀드입니다.​인덱스펀드(Index fund)선정된 목표지수와 같은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펀드출처: 네이버 시사상식사전인덱스펀드는 각 업종의 대표종목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일정 비율로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KOSPI 또는 S&P500 등의 정해진 지수의 수익률과 유사한 수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운용이 되지요. 주가지수의 수익률만큼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으로, 주가지수 상승만큼 수익이 오르고 하락만큼 떨어집니다.예를 들면, KOSPI의 일주일 수익률이 10% 올랐다면 자신이 투자한 인덱스펀드의 수익률도 10%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가지수 전망만 고려하면 되니 상대적으로 펀드를 이해하기 쉽고, 수익률을 알아보기 위해 펀드기준가를 따로 계산할 필요가 없어 관리가 쉽습니다.한편, 인덱스 펀드는 펀드의 특성 상 환매를 통해 자금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의 흐름에빠르게 대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ETF의 경우, 주식처럼 상장을 하기 때문에 거래소에서 언제든지 거래될 수 있다는 것이 큰 강점이지요.인덱스펀드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면서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고유한 특성도 최대한 살린 ETF! 굉장한 매력이 아닐 수 없는데요. 그럼 ETF의 장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3. 편리+저렴+안전+투명! - ETF의 장점앞서 간단히 살펴봤듯이, ETF가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이유는 주식처럼 손쉽게 사고 팔면서 펀드처럼 투자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저렴한 거래비용과 펀드투자와 비교할 수 없는 편리한 투자 및 환매방식이 큰 장점으로 꼽힌답니다.장점 1) 실시간 조회와 매매 가능ETF는 주식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실시간 조회와 매매가 가능합니다.펀드는 가입이나 환매 시 하루 이상의 시차가 발생하지만 ETF는 그런 걱정이 없죠. ETF는 긴 환매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자금을 회수할 수 있어 환금성도 좋습니다(ETF결제: T+2일(주식과 동일)).장점 2) 가격변동 파악과 투자 판단 용이가격변동파악과 투자판단이 용이합니다. 개별주식종목 거래 시 관련기업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지만 ETF의 경우 시장이나 특정 산업의 전반적인 흐름 전체에 대한 전망으로도 투자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IT업종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관련 종목을 개별적으로 선별하여 매수해야 하지만, IT 업종 ETF 매수를 통해 IT 업종에 대한 투자가 좀 더 쉬워집니다.장점 3) 일반 펀드나 주식보다 낮은 변동성!ETF는 특정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그 지수 안에 있는 종목들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가 있어 상대적으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1주를 매입하더라도 ETF를 추종하는 지수구성종목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죠. 이러한 분산투자는 개별종목 투자대비 리스크를 저하시켜 줍니다. 또한 ETF는 인덱스 펀드처럼 매일 증시가 오르내리는 폭만큼 수익률도 기계적으로 같은 폭만큼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일반 펀드나 주식보다 변동성이 매우 적습니다. 때문에 주가 하락기에도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습니다장점 4) 매도금액의 0.3%인 거래세 면제ETF는 거래세가 면제됩니다. 주식을 사고 팔 때는 반드시 매매수수료를 내야 하고 팔 때는 거래세까지 물어야 하는데요. 주식처럼 증권사의 홈트레이딩 시스템(HTS)를 통해서 실시간 매수, 매도가 가능함에도 매도금액의 0.3%인 거래세를 면제받을 수 있답니다. 참고로 이는 국내주식형 ETF에만 해당되고 나머지 ETF는 15.4% 배당소득세를 내야 합니다.장점 5) 낮은 펀드 수수료와 보수​펀드 수수료는 1) 판매 수수료와 2) 펀드 보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판매 수수료는 펀드에 가입하거나 해지할 때 판매사에게 한 번만 내는 비용, 펀스 보수는 펀드 평가잔액에서 매년 일정비율로 내야 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펀드를 선택할 때 펀드 수수료도 중요하게 고려되는 부분인데요. 일반 펀드투자자들의 가장 큰 불만은 연평균 1.5%라는 높은 펀드 수수료입니다. 하지만 ETF는 펀드수수료가 0.5% 수준밖에 되지 않습니다. 또한 보수가 저렴한 점도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대중적인 주식형펀드의 총 보수는 연 2.5% 안팎이고 인덱스펀드도 연 1.5% 정도랍니다. 하지만, ETF의 평균 보수는 0.36%라, 다른 펀드보다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사실! 3년 이상 장기 투자한다면 제법 큰 돈을 아끼는 셈이지요.장점 6) 공개성+투명성일반 펀드의 경우, 투자자가 운용할 수 없으며 그 내역을 사후에야 볼 수 있지만, ETF의 경우에는 납입자산구성내역(PDF, Portfolio Deposit File) 공시제도를 통해 펀드의 포트폴리오를 매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ETF에 무슨 종목이 들어갔는지 얼만큼 들어갔는지 매일 각 운용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되기 때문에 내가 투자 하는 ETF 펀드가 어디에 얼마큼 투자가 되고 있고, 성과가 어떻게 나고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자산운용사사이트삼성자산운용www.kodex.com미래에셋자산운용www.tigeretf.com한국투자신탁운용www.kindexetf.com교보악사자산운용www.kyoboaxa-im.co.kr우리자산운용www.kosef.co.kr케이비자산운용www.kstaretf.com한화자산운용www.hanwhafund.co.kr유리에셋www.yuriasset.co.kr키움자산운용www.kiwoomasset.com마이다스에셋www.midasasset.co.kr동부자산운용www.dongbuam.co.kr대신자산운용www.ditm.co.kr하나UBS자산운용www.ubs-hana.comKTB자산운용www.i-ktb.com동양자산운용㈜www.tyam.co.kr산은자산운용www.kdbasset.co.kr​출처: 한국거래소(www.krx.co.kr)이상으로 ETF의 정의와 구조, 장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