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위소득은 무엇을 말하는건지 그리고 50프로 70프로라고 하는건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위소득에대해서 물어보셨네요!일단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위값입니다. 평균값과 중위값은 다른데요! 평균값은 전체가구/가구수이지만 중위값은 순위를 나열했을때 중간값이죠!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값보다는 정확도가 높다고 봐야하죠!그래서 정확한 평균값을 구하려면 상위, 하위 몇프로씩 빼고 계산하는것도 여기서 나옵니다.일단 중위값은 순위 나열시 중간값이라고 했는데 이는 정부 복지 지원사업이나 기초생활 수급자, 정부지원금씨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매년 08월 01일까지 보건복지부장관이 다양한 복지제도 및 수급자 기준을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고시하게됩니다.일단 23년도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1인 : 2,077,8922인 : 3,456,1553인 : 4,434,8164인 : 5,400,9645인 : 6,330,6886인 : 7,227,9817인 : 8,107,515이 값은 22년도에 비해 23년도에 5.47% 인상된 금액이구요! 기준중위소득 100%라고 부릅니다.정부에서 지원금을 지급할때도 기준중위소득 50%이면 금액이 저 기준값보다 낮은것이고, 150%이면 금액이 기준값보다 높은것입니다.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Q. 경제학 용어 중에 맬서스 함정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생산성 증가 속도가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소득이 정체되고, 항구적으로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를 맬서스 함정이라고 합니다.맬서스는 인간의 강한 성욕 때문에 인구 증가를 막기 어렵다고 보았으며, 인구는 25년마다 두 배 증가하는 반면, 식량 생산은 천천히 증가해파국을 맞는다고 평하였습니다.식량이 늘면 인구가 늘어 노동력이 증가하지만, 곧 인구 포화로 임금이 떨어지고 식량이 비싸집니다. 임금이 싸지면 지주들은 농업 노동자를 더 고용하게 되어 다시 식량이 늘지만, '먹는 입'이 더 빨리 늘어 또 식량 부족에 직면하게 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이런 악순환이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것을 '맬서스 함정'이라고 합니다.이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