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 용어로 임페리얼 마케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임페리얼 마케팅(Imperial marketing)이란 경쟁 제품보다 우수한 품질과 서비스,높은 가격을 강조하면서 고급 이미지를 내세워 소비자를 공략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품질을 가장 중요시하는 소비자층이 주 타깃인데요.자동차나 고급 의류나 화장품 등 기본적으로 고가인 제품들뿐만 아니라 라면, 우유, 과자, 운동화 등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제품들 또기존 제품보다 가격을 올려 차별화된 고급 품질을 앞세운다고 합니다.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으로 판매율만을 올리려는 ‘가격파괴’와 정반대의 개념이라고 합니다.
Q. 3저 호황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3저 호황3저 호황이란 ‘3저’라는 이름이 상징하듯이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를 바탕으로 한국 경제가 무릉도원에서 꽃놀이 하던 시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1986년, 1987년, 1988년이 이 시기에 해당합니다.■ 저유가 : 국제 유가, 쉽게 말해서 석유값이 1980년에 배럴당 40달러를 찍고 하락을 시작합니다. 덕분에 물가안정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저금리 : 1980년대 우리나라는 외국에 진 빚이 장난 아니었습니다. 세상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들 정도의 수준이었습니다. 덕분에 늘 빚쟁이들에게 시달리고, 이자 걱정으로 밤 잠을 제대로 못 잘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국제금리가 하락하면서 이자부담을 잊고 어느정도 꿀잠을 잘 수 있게 됩니다.■ 저달러 : 1985년 '1달러 = 260엔'까지 갔던 엔/달러 환율이 1988년에는 '1달러 = 123엔'까지 하락합니다. 엔/달러환율이 이렇게 하락하자, 미국의 수입업자는 당황(?)하게 됩니다. 옛날에는 1달러를 가지고 일본에 가면 260엔짜리 물건을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123엔짜리 물건밖에 구입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국의 수입업자가 일본에서 방향을 틀어 한국을 찾아왔습니다. 덕분에 수출을 증가하고 대한민국 경제가 봄날을 맞이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