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4월 7일 작성 됨
Q.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등에서 스탄은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탄은 땅.나라를 뜻하며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어(梵語)에서 비롯했다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4140168#home
경제용어
2023년 4월 7일 작성 됨
Q.
경제용어에서 테이퍼링이란 어떤 의미의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테이퍼링(tapering)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뜻으로 2013년 5월 당시 벤 버냉키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언급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일반적으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을 말합니다.이에 더 나가 양적긴축은 양적긴축은 시중에 돈을 풀지 않고 거둬들이는 단계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비트코인이 왜 탄생하게 됐고 누가 만든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의 대표격인 비트코인은 현재 존재하는 수많은 암호화폐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신원 미상인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통해 공개되었고, 2009년 1월 3일에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제네시스블록)되었습니다.비트코인은 기존 중앙집중식 금융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매우 거세게 이는 상황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사토시 나카모토는 은행과 같은 중앙기구가 없더라도 네트워크 참여자들에 의해 피투피(P2P) 방식으로 스스로 작동하는 새로운 화폐 시스템을 구상한 것입니다.
경제용어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경제 공부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공부를 이론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미시/거시경제학 등 경제학적인 기초지식을 쌓는 것이 방법일 것입니다.다만, 학생이 아니시라면 공부에만 집중하시기는 힘들 수 있으니, 경제신문과 시중의 경제/주식 등의 서적들을 보면서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공매도를 하는 이유는 무엇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매도(空賣渡)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혹은 하락시킬 타겟을 정해) 주식을 미리 빌려서 비싼 값에 팔고 나중에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빌린 주식을 싼값에 사들여 넘겨 결제를 완료함으로써 중간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을 말합니다.공매도가 하락에 베팅하는 방법으로서 주가의 하락을 불러오고 이에 따라 공매도를 하지 않는 다른 주식들도 영향을 받는다는점에서 비난의 대상이 되지만, 주식시장의 효율성 증가나 유동성의 증가 등 공매도의 장점 또한 존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공매도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양적 완화란 말이 정확히 어떤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양적완화를 쉽게 말하면 돈을 푸는 것입니다.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란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극도로 위축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융기관을 통해 시중에 돈을 푸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들어 국채를 매입하는 등의 수단을 활용하는데, 이를 통해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게 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경제 용어 중 "방카슈랑스" 는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방카슈랑스의 어감과는 별개로 '이쁘다'와는 거리가 있는 용어입니다.방카슈랑스는 프랑스어로 은행을 가르키는 'Banque'와 보험을 뜻하는 'Assurance'의 합성어로서, 은행 등 금융기관이 보험회사의 대리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출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금리인하요구권 언제 신청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하요구권은 일반적으로 대출상환능력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요구가 가능합니다.우리나라 정부의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2299
경제정책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대표적인 역진세에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사에따르면 역진세 소득이나 과세대상 금액이 증가할수록 세율이 낮아지는 세금인데, 우리나라에는 역진세가 존재하지 않는다ㄱ고 합니다.http://www.yeonsu.info/news/articleView.html?idxno=30539다만, 부가가치세 등 간접세에서 역진 구조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즉, 역진세는 누진세와 반대로 과세표준(소득)이 증가할수록 세율이 낮아지는 구조인데, 똑같은 물품을 구매해도 재벌 내는 세금이나 우리가 내는 세금이 동일하기 때문에 소득에 대한 세금부담이 우리에게 더 크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경제용어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전방연쇄효과, 후방연쇄효과는 어떤 효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전방연쇄효과는 금융서비스가 여타 산업의 생산에 중간재로 사용되는 경우, 후방연쇄효과는 금융산업이 여타 산업의 산출물을 중간재로 투입하는 경우에 각각 산업 전체에 생산을 유발하는 효과를 의미한다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www.ssu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831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