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에는 수은이 왜 불로불사의 약이라고 알려졌죠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록에 따르면 수은을 불로불사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여긴 이유는 '시체에 수은을 처리하면 잘 썩지 않는다. 하물며 산 사람이 먹으면 어떻게 되겠느냐?' 라는 논리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수은에 대한 내용(무덤안에 수은이 흐르는 강이 있다는 등)은 거짓으로 여겨졌으나 무덤 발굴시 1980년대 실시된 토양검사에서 수은의 함유량이 일반토양보다 100배 높게 나타났다고 하며 신빙성을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의 수도는 어디였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수도는 개경입니다.고려시대 개경은 고려의 수도이며 오늘날의 북한 개성시를 말합니다. 송도(松都), 송악(松岳), 송경(松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강화도조약이 불평등 조약이라고 하는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료에 따르면 강화도조약의 가장 불평등을 야기할만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제1조는 조선과 청나라와의 관계를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평가되며, 제5조는 원산과 인천을 개항하게 함으로써 통상 업무 이외에 정치적·군사적 침략 의도가 내포된 것이었다. 그리고 제7조는 조선 연안 측량권을 얻음으로써 군사작전 시 상륙 지점을 정탐하게 하였으며, 제10조는 영사재판권을 인정한 불평등조약이었다 할 수 있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
미술
미술 이미지
Q.  명인 자격이 부여되는 기준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분야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대한민국 최고농업기술명인 선발규정 대한민국 최고농업기술명인의 신청자격은 국내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전체영농경력 20년 이상, 동일영농분야 1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농업인(농지원부 등 참조)을 대상으로 한다고 합니다.관련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05538
음악
음악 이미지
Q.  씨름의 유래는 어디서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씨름의 어원은 '서로 버티어 겨루다'의 뜻을 가진 경상도 방언 '씨루다'가 명사화하여 '씨름'이 되었다는 견해가 있다고 합니다.자료에 따르면 씨름의 기원은 다음과 같습니다.씨름은 여러 사람이 한 집단 또는 사회를 이루고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생겼다고 짐작할 수 있다. 첫째로, 원시사회 사람들은 먹이를 구하거나 자신을 지키기 위하여 맹수들과 싸우지 않으면 안 되었으며, 다른 핏줄의 집단과 생활권의 확보를 위하여 집단적으로 싸우기도 하였다. 이때 싸움의 방법으로 격투가 벌어졌을 것이니 이것이 곧 씨름의 시초로 보인다.따라서 원시인들은 생존을 위해 격투기술을 점차 발달시켜 나갔으며, 여기에서 씨름이 1대 1의 격투기술로 개발되어 널리 응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인간의 지적 향상과 집단의 정치적·경제적 발달에 따라 씨름은 무예로 발달해 왔다. 개인적 방어술이었던 씨름이 무술의 하나로서 발전하게 되는 것은 사회의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였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씨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198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역사중에서 강화도조약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76년(고종 13) 2월 강화부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입니다.자료에 따르면 내용과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중요 내용은 ① 조선은 자주의 나라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제1조) ② 양국은 15개월 뒤에 수시로 사신을 파견하여 교제 사무를 협의한다 (제2조) ③ 조선은 부산 이외에 두 항구를 20개월 이내에 개항하여 통상을 해야 한다(제5조) ④ 조선은 연안 항해의 안전을 위해 일본 항해자로 하여금 해안 측량을 허용한다(제7조) ⑤ 개항장에서 일어난 양국인 사이의 범죄 사건은 속인주의에 입각하여 자국의 법에 의하여 처리한다(제10조) ⑥ 양국 상인의 편의를 꾀하기 위해 추후 통상 장정을 체결한다(제11조)특히, 제1조는 조선과 청나라와의 관계를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평가되며, 제5조는 원산과 인천을 개항하게 함으로써 통상 업무 이외에 정치적·군사적 침략 의도가 내포된 것이었다. 그리고 제7조는 조선 연안 측량권을 얻음으로써 군사작전 시 상륙 지점을 정탐하게 하였으며, 제10조는 영사재판권을 인정한 불평등조약이었다 할 수 있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임금이 외자 이름을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조선의 왕들은 대부분 이름이 외자인데, 이는 백성의 불편함을 덜기 위함이였다고 합니다.다음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726030004
역사
역사 이미지
Q.  화폐는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료에 따르면 역사상 최초의 주화는 기원전 600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고학자들은 이 주화를 에페수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오늘날 터키의 이즈미르 근처)에서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동양에서는 기원전 221년 무렵, 중국 진나라의 '초대 황제'인 진시황이 통일된 청동 주화를 도입하였다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blog.ibk.co.kr/279
음악
음악 이미지
Q.  플룻은 왜 금관악기가아니라 목관악기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플루트는 목관악기이자 기명악기의 하나인데, 이는 플루트의 개발 자체가 금속 발명 전 '나무피리'서 탄생했다고 합니다. 19세기 獨 '뵘'이 금속으로 바꿔어 플루트가 되었느데, 관련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2101737911
음악
음악 이미지
Q.  바흐는 왜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세기 바로크 시대를 풍미하던 대표적인 음악가 바흐와 헨델. 그들은 각자 음악의 아버지 바흐, 음악의 어머니 헨델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음악적인 이유가 있다기보다는 일본 출판사의 마케팅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많습니다.
2662672682692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