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경알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 필요한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라이트'란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중 380~500nm의 짧은 파장을 가진 빛이다. 파랗게 보이기 때문에 블루라이트(청색광)라는 이름이 붙는데, 상대적으로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 눈에 시력 저하, 피로감 등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특히 일각에서는 모니터, 스마트폰, TV, LED 등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는 망막의 손상을 가져오고 수면 유도 호르몬 분비를 저하한다고 보고 있다.안경원에서는 "자외선은 100% 차단할 수 있지만, 블루라이트를 100% 차단하는 렌즈는 없다. 보통 차단율은 3~40%에서 높은 경우 7~80% 차단된다고 보시면 된다"라고 전했다. 또 블루라이트를 차단을 위해 코팅 렌즈가 미세하게 노란빛이 돌기 때문에 색감에 민감한 업무를 한다면 방해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이 하나의 필수품처럼 홍보되고 있지만, 학계에서는 블루라이트의 유해성 자체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애초에 블루라이트가 실명이나 망막 상을 가져올 만큼 위험한 것이 아니라는 것.대표적으로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을 지적한 연구는 지난해 미국 톨레도 대 연구팀이 발표한 내용이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된 이 연구는 블루라이트로 인해 망막의 시상 세포가 파괴되면, 시력이 감퇴하는 황반변성에 걸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이를 인용한 국내외 기사들로 인해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이 널리 퍼졌다. 같은 해 미국안과학회는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가 눈을 멀게 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하며 톨레도 대 연구를 공식적으로 반박했다.아직은 찬반 주장이 같이 존재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상무지개가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흔하게 볼 수는 없지만 운 좋게도 쌍무지개를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쌍무지개를 보면 예쁜 짝을 만난다는 전설도 있습니다. 이 쌍 무지개에 대해서 살펴 봅시다.무지개는 크게 1차 무지개(primary rainbow), 2차 무지개(secondary rainbow)로 나눌 수 있는데 그림과 같이 1차 무지개는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보, 남, 파, 초, 노, 주, 빨강의 순서로 색이 배치되어 있고 2차 무지개는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빨, 주, 노, 초, 파, 남, 보라의 순서로 색깔이 배치되어 있습니다.이렇게 1, 2차 무지개의 색 배치가 다른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십시오.2차 무지개는 물방울 내에서 두 번 반사하기 때문에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 같이 색 배치가 반대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1차 무지개의 바깥쪽과 2차 무지개의 안쪽에는 같은 색인 빨강색이 되고, 1차 무지개의 안쪽과 2차 무지개의 바깥쪽은 보라색이 됩니다. 또한 1차 무지개의 반지름은 42。의 둥근 호를 그리는 반면 2차 무지개의 반지름은 51。의 더 큰 원호를 그리게 됩니다.
Q. 일상에서 만유인력법칙이 작용되는 현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을 가진 물체사이의 인력을 기술하는 물리학 법칙이다. 모든 물체는 다른 물체를 끌어당기는데, 이 힘은 두 상호작용하는 물체 사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며, 두 물체 사이의 거리에는 제곱에 반비례한다.뉴턴(Isaac Newton)은 이 법칙을 그의 제2운동법칙과 연관시켜 행성의 가속도를 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행성의 궤도가 타원형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뉴턴은 중력이 행성의 진로뿐만 아니라, 달의 세차운동, 혜성의 운동, 은하수의 생성 및 빛의 굴절 등에도 적용되는 일반적인 힘의 하나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래서 뉴턴은 인력을 만유인력(universal force)이라 부르게 되었다.실생활에서 지구와 우리가 서로 당기고 있는 것이죠..지구와 달이 그렇고요
Q. 전기 뱀장어의 전기 발생 원리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뱀장어가 몸 안에서 전기를 만들어내는 기관은 ‘ 가로무늬근’이라는 근육이 변화한 것으로, ‘전기판’과 비슷하게 세포가 겹겹이 쌓인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판 근육은 마치 수많은 전기 회로가 직렬로 연결된 것처럼 매우 높은 전위차를 만들 수 있습니다.실제로 남아메리카의 밀림 아마존에 있는 전기뱀장어의 경우에는 약 850V(볼트) 정도의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전기뱀장어는 몸 전체의 85%가 전기판 근육 세포로 되어 있고, 머리 쪽은 (+)극, 꼬리 쪽은 (-)극 역할을 합니다. 건전지가 직렬로 많이 연결되어 있으면 전압이 높듯이 몸집이 길고 큰 전기뱀장어가 세포의 수가 많아서 전압이 높습니다.꼬리에서 엄청난 번개를 뿜어낼 수 있는 동물이 존재할 수 있을까요? 만약 전기뱀장어처럼 동물의 몸속에 전기판이 겹겹이 쌓여 있다면 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