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뻐서 흘리는 눈물과 슬퍼서 흘리는 눈물중 어느눈물이 더 짠가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쁨으로 나오는 눈물과 슬픔으로 나오는 눈물은 화학적으로 구성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맛이나 짠맛의 정도가 조금씩 다릅니다.눈물은 물, 염소 이온, 칼륨, 나트륨, 인산염, 당분 등이 섞여 있으며, 이 중에서 나트륨이 농도가 높아서 짠맛을 느끼게 합니다. 그러나, 슬픔으로 나오는 눈물에는 더 많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더 짠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하지만 눈물의 짠맛은 매우 약해서, 보통은 짠맛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낮기 때문에, 사람들은 두 종류의 눈물 중 어느 것이 더 짠맛이 강하다는 것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Q. 세균, 바이러스, 박테리아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 같아 보이는 이 것의 차이점으로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균, 바이러스, 박테리아는 모두 미생물로서 유사하면서도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크기: 세균은 대략 1-5 마이크로미터의 크기이며, 박테리아는 세균보다 더 작은 대략 0.5-5 마이크로미터의 크기입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더 작은 대략 0.02-0.3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세균과 비교할 수 없이 작습니다.구조: 세균과 박테리아는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막, 세포벽, 세포질, DNA를 포함한 세포 내부 구조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를 갖고 있지 않으며, 단백질 코팅과 DNA 또는 RNA 유전자만으로 구성됩니다.생명력: 세균과 박테리아는 자체적으로 생명을 유지하며, 증식하고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며, 감염된 세포에서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치료 방법: 세균과 박테리아는 항생제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지만, 바이러스는 항바이러스제가 있지만 예방접종이나 증상 완화 치료가 대부분입니다.감염 경로: 세균, 바이러스, 박테리아는 각각 다른 감염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균과 박테리아는 공기, 물, 음식물, 직접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공기 중에서 수포나 침방울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Q. 우물을 팔때 어떻게 물이 있는지 아나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옛날 시골 마을에서는 우물을 파기 전에 우물 주변 지형이나 토양, 식물 등을 관찰하여 물이 있는 가능성을 예측하곤 했습니다. 예를 들어, 풀이 푸르게 자라는 곳, 물이 잘 흐르는 골짜기나 내리막 등의 지형에서는 물이 많이 나올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또한, 마을 주민들은 그 지역의 지하수층과 지형적인 특성, 지하수 층의 깊이와 굳힘 등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과 관찰을 토대로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고 우물을 파면서 물이 나오는지 확인하곤 했습니다.
Q. 푸른 불꽃엔 냄비가 안 그으르고 붉은 불꽃에 냄비가 그으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푸른 불꽃은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산소와 연소체 사이의 화학 반응이 촉진되어 발생합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화합물 중에는 니트로겐과 같은 분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반면에 붉은 불꽃은 보통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산소와 연소체의 화학 반응에서 생성되는 빛을 표현합니다. 이러한 화학 반응에서는 일반적으로 탄소와 수소 같은 분자가 생성되어 냄비가 그을 수 있습니다.따라서, 푸른 불꽃과 붉은 불꽃은 화학 반응의 종류와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각각 발생하는 화합물과 빛의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냄비의 그름 정도도 다를 수 있습니다.
Q. 바이러스는 왜 지속적으로 변이가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는 유전자를 가진 유기체입니다. 모든 생명체들은 자신의 유전자를 복사하면서 복사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복사 오류가 발생하면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변이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발생하며, 새로운 바이러스 형태를 만들어 냅니다.바이러스는 복제 과정에서 매우 높은 속도로 복제되기 때문에, 매우 빠르게 변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이는 바이러스가 호스트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바이러스 변종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Q. 높은 곳에서 물 속으로 떨어질때 몸을 꼿꼿하게하면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다이빙 포즈를 취해 떨어지면 생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이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다이빙 포즈는 몸의 표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떨어지는 속도가 느려져 충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떨어지는 높이와 몸의 자세, 그리고 떨어지는 바닥의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높은 건물에서 떨어져서 바닥에 부딪히면 몸이 충격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이빙 포즈를 취하더라도 큰 소용이 없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이빙 포즈를 유지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일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순간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는 이론적으로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는 순간이동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설명하는 것은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물체가 빛의 속도로 이동할 때 공간과 시간이 왜곡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론상으로는 이 왜곡된 공간을 이용하여 물체를 순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론이 제시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기술이 필요하며, 현재까지는 이를 실현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많이 남아있습니다.스팟을 옮겨다니는 텔레포트 또한,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는 것이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아직까지는 불가능한 기술입니다. 텔레포트의 구현을 위해서는 막대한 에너지와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한계가 많이 존재하며, 더 많은 연구와 기술 발전이 필요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지고 있다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은 현재 약 23.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기울기는 지구의 자전운동에 의해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울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을 지구의 선회(precession)라고 합니다.지구의 선회는 두 가지 주요한 원인이 있습니다. 첫째는 태양과 달의 조력에 의한 것으로, 태양과 달의 끌어당김이 지구의 자전축 주위를 고리모양으로 돌면서 자전축의 방향을 조금씩 바꿉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자전축은 약 26,000년 주기로 돌아가게 됩니다.둘째는 지구의 지각공전 궤도가 태양 주위를 고리모양으로 돌면서 이르는 겨울철과 차기점에서 멀리 떨어진 여름철의 태양 조도차이 때문입니다. 이것도 약 20,000년 주기로 변화합니다.따라서, 시간이 흐르면서 자전축의 기울기는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천문학적 시간 스케일에서는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변화가 지구에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