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는 진공이라 소리가 없을 텐데 어떻게 블랙홀 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미국 NASA는 실제로 블랙홀이 내는 소리를 녹음한 적은 없습니다. 블랙홀은 직접적으로 소리를 내지 않기 때문입니다.그러나 블랙홀 주변에는 거대한 가스와 먼지의 구름이 존재하고, 이러한 물질들이 블랙홀로 빠져들면서 충돌하는 과정에서 매우 강력한 레이저와 같은 방사선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방사선은 주변의 가스와 먼지를 충돌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소리를 우리는 "블랙홀 퀘이크" 또는 "블랙홀 음악"이라고 부릅니다.이러한 소리는 라디오 파장으로 감지될 수 있으며, NASA에서는 이러한 라디오 파장을 캡처하여 소리로 변환하는 기술을 사용해 "블랙홀 소리"를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블랙홀이 내는 음을 들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하지만 이 소리는 실제로는 우주에서 들리는 소리가 아니라, 우주에서 방출되는 라디오 파장을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변환한 것일 뿐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성내에서는 지구처럼 대화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소리는 공기 진동이 물체에서 발생하여 주변 공기 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압축 및 이완시키며 전파되어 우리 귀에 들어와서 들리게 됩니다. 그러나 대기가 없는 곳에서는 소리가 전파될 매질이 없으므로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달에서는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하지만 화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대기가 존재합니다. 화성 대기는 지구 대기에 비해 훨씬 얇지만, 지구처럼 소리가 전파될 매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지구에서와 비슷한 방식으로 소리가 전파될 것입니다. 다만, 대기의 밀도와 온도, 환경적 조건 등에 따라 소리의 전파 속도나 높이 등이 달라져 소리의 특성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Q. 단열이 가능한 유리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단열유리 제품들은 일반 유리보다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며, 건축물 내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줍니다.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단열유리 종류로는 '저반사 단열유리', '다공성 단열유리', '코팅 단열유리'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높은 단열성능을 가진 것은 '다공성 단열유리'입니다. 이 제품은 유리 안쪽에 작은 구멍을 뚫어 놓음으로써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능을 높입니다. 또한, '코팅 단열유리'는 유리에 특수한 코팅을 하여 단열성능을 높인 것입니다.이러한 단열유리 제품들은 현재 건축자재 시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단열성능을 가진 제품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Q. 사우나 이후 현기증이 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우나에서 오랫동안 머물러 있다가 갑자기 밖으로 나오면 현기증이나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몇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혈압 저하입니다. 사우나나 스파 등의 열환경에서는 혈압이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은데, 갑자기 실내 밖의 서늘한 공기로 나오면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현기증이나 어지러움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또한, 열환경에서는 체내 수분이 증발하여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액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혈액순환에 영향을 주어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그 외에도 열환경에서는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고 호흡수가 빨라지는 등의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이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 코카콜라는 원래 만병통치약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코카콜라는 만병통치약이다"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이는 코카콜라 회사에서 사용한 마케팅 전략 중 하나였으며, 180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까지 코카콜라가 각종 질병에 대한 치료제로서 홍보되었던 역사적인 사실입니다.그러나 실제로 코카콜라가 만병통치약으로 작용한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코카콜라는 당류, 카페인, 인산염, 탄산 등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특정한 증상을 개선시키거나 질병을 치료하지는 않습니다.하지만, 코카콜라에는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미각 변화, 집중력 향상 및 뇌 기능 개선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코카인의 유래인 코카 추출물도 함유되어 있지만, 이는 매우 작은 양으로 첨가되어 있으며, 코카인의 중독성을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따라서, 코카콜라가 만병통치약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거짓 정보입니다. 코카콜라는 간단한 음료수에 불과하며, 그 효과와 부작용은 다른 음료수와 비슷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한반도에서 개기 월식을 언제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반도에서 개기 월식을 관측할 수 있는 시기는 월식이 발생하는 시기와 일몰 또는 일출 시간이 겹치는 경우입니다. 월식은 보통 한 달에 한 번 정도 일어나며, 일몰이나 일출 시간은 계절에 따라 다릅니다.다음은 2023년 한반도에서 예상되는 개기 월식의 일정입니다.2023년 5월 16일 (화) 새벽: 일출 전 개기 월식 (일출 시간: 약 05:22)2023년 11월 10일 (금) 저녁: 일몰 후 개기 월식 (일몰 시간: 약 17:14)한반도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관측할 수 있는 개기 월식은 일몰 후 바로 발생하는 월식입니다. 이 경우 일몰 시간과 월식 발생 시간이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명 없이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월식이 발생하는 시간과 날짜는 계절에 따라 다르며, 매년 변동합니다. 따라서, 개기 월식을 관측하고 싶다면 해당 년도의 일정을 참고해야 합니다.
Q. 음속의 기준이 되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음속은 소리의 속도를 말합니다. 대기압이 1 기압일 때, 0도 Celsius 온도에서 소리의 속도는 초당 약 331 미터입니다. 이는 바람, 기온, 고도 등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마하수는 음속의 속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마하 1은 음속의 속도와 같으며, 마하 2는 음속의 2배, 마하 3은 음속의 3배, 이런 식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초음속 비행기나 전투기의 마하수는 해당 항공기가 음속의 몇 배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마하수는 항공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준 중 하나이며, 다른 속도 측정 방법으로는 고도나 대기압 등을 이용한 방법도 있습니다. 항공기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도, 대기압, 바람 등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항공기 내부의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합니다. 이러한 측정 장비에는 기압계, GPS, 레이더 등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가 큰 혜성에 충돌되는 가능성이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큰 혜성에 충돌하는 일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혜성의 크기, 속도, 밀도, 질량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현재까지 관측 가능한 혜성들의 분포와 경로, 지구 주변 우주 환경 등을 고려하여 예측해야 합니다.일반적으로 지구와 큰 혜성이 충돌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NASA는 1990년대에 "Spaceguard Survey"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지구에 근접할 가능성이 있는 대형 소행성과 혜성의 경로와 궤도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대형 혜성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페르미의 역설이 무얼 설명하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페르미의 역설(Fermi Paradox)은 외계 지능 생명체의 존재와 관련된 역설적인 질문입니다. 이 역설은 "우주는 광활하고 우주에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외계 생명체의 수는 많을 것이지만, 그들과의 접촉이나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것입니다.우주는 수없이 많은 별과 행성으로 가득 차 있고, 그 중에는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외계 지능 생명체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답은 나오지 않았습니다.페르미의 역설은 우주에서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지만, 외계 생명체와의 접촉이나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는 이론적으로 가능성이 높은 것에 비해 실제로 관측되는 것이 적은 이유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가설들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외계 지능 생명체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