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위장약은 빈속에 먹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어떤 위장약제를 복용 중이신지 모르겠으나,PPI 계통의 위산분비억제제는 대부분 식전 복용,H2RA 계통의 위산분비억제제는 대부분 식후 복용이며,Trimebutine, Itopride 등의 위장운동조절제는 대부분 식전에,위점막을 보호하는 애엽 제제 등은 식후에 복용합니다.'위장약' 이라 함은 위장과 관련된 전반적인 약제들을 총칭하는 것이므로사용하는 약제에 따라 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약제를 복용 중이신지 알아야더 정확한 답변이 가능하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식전복용, 식후복용, 식후30분후 복용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당조절제 등 식사 여부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약제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분들은혈중 약물 농도의 유지가 중요하여 정확한 시간간격 (ex. 8시간마다 / 12시간마다 등...) 으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실제로 이 용법을 따르려고 해보면 실생활 중에 이 복약 시간을 지키는 것이 굉장히 어렵습니다.때문에 특별히 식사 여부와 약효 간에 큰 유의성이 없는 경우 복약 편의성을 위해하루 3번 식후 30분 / 하루 2번 식후 30분 등으로 처방을 내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실제로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 식후 30분 복용 시 대략 6시간 정도의 간격이 잡혀8시간 간격으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의약품의 복용 간격과 얼추 맞아지며하루 2번 (아침, 저녁) 복용 시 대략 12시간 간격과 얼추 맞아집니다.복약 편의성 이외에도 식후 복용 시 약물에 의한 속쓰림 등의 위장증세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이점도 있습니다.워낙 케이스가 다양해 모든 경우를 열거해드릴 수는 없으나,최적의 약효 / 부작용 예방 측면에서 복용 시간대와 식사 여부를 지정하여 처방을 내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예를 들어 식사에 의해 흡수를 방해받는 경우 식전 처방을 내거나소염진통제는 속쓰림 예방을 위해 식후에 처방을 내며,이뇨제는 수면 중 소변 욕구로 숙면이 방해되지 않도록 아침에,항히스타민제는 졸음 부작용이 일상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저녁에 처방이 됩니다.때문에 처방 받으신 용법에 맞게 복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