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좀에 바르는 연고와 먹는약 어떤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약사입니다.-일반의약품 항진균제 외용제를 사용하실 경우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12개월 가량 사용하셔야 하며증세가 사라졌다고 하여 무좀균이 완전히 사멸한 것은 아니므로증세가 사라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적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1년 정도 사용하여도 증세가 낫지 않는 경우 항진균제 경구제를 복용해보셔야 하며,이는 모두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피부과 등으로 방문하시어 적절한 검진 후 처방 받으셔야 합니다.현재 겪고 계신 무좀은 지간형 무좀과 소수포성 무좀이 동시에 있으신 것으로 보입니다.항진균제에 리도카인 등의 국소마취제, 멘솔 등의 반대자극제가 포함된 제품을 선택해보시는 것이 바람직하겠고,염증이 동반되는 경우 스테로이드 성분이 함께 포함된 제제를 선택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명치부터 식도주변으로 화끈거림은?
안녕하세요. 이준수 약사입니다.-역류성식도염은 위산이 역류하여 위산에 의해 위벽과 식도벽이 공격 받아 발생하는 증세로,현재 겪고 계신 증세의 원인을 진단할 수는 없지만 역류성식도염의 가능성도 있겠습니다.약국에서도 일반의약품으로 H2RA 계열의 위산분비억제제 (Famotidine 성분의 조아파모티딘정 등) 나,증상 완화제로 제산제+alginate 제제 (노루모듀얼액션현탁액 등) 를 처방 없이 구매하실 수 있겠으나,우선은 역류성식도염 증세가 맞는지 정확한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고,약물 치료 가이드라인 상 PPI 계열의 위산분비억제제나, 케이캡정50mg (성분명: Tegoprazan) 등전문의약품 위산분비억제제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므로 가급적 병원으로 방문하시길 권장드립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두통약 복용후에두통 더 심하게 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
안녕하세요. 이준수 약사입니다.-판콜에스내복액, 판피린큐액는 종합감기약으로 보셔야 하며,열감과 통증 완화를 위해 타이레놀과 동일한 성분의 해열진통제 성분 (Acetaminophen)이 포함되어 있어두통 증세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겠으나, 다른 감기 제증상이 없으시면필요없는 성분까지 추가로 복용하는 꼴이 되니 가급적 진통제 단일제를 선택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복용 후 졸음이 오는 것 역시 두 제제에 공통으로콧물 증세 완화를 위해 포함된 항히스타민제에 기인하는 부작용 증세입니다.의약품 복용 이후 통증이 심해진 것인지,의약품 복용으로도 충분히 진통효과를 얻을 수 없어 두통 증세 자체가 강하게 나타난 것인지는본문 내용만 가지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굳이 가능성을 따져보자면 두 제제에 포함된 Caffeine 에 의한 말초혈관 수축 작용 이후Caffeine 의 혈중 농도가 떨어짐에 따라 반동적인 두통 증세가 초래되었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