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에게 수개념을 알려주고 싶은데 언제부터 이해를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마트에서 계산할 정도가 되면 최소 천단위 정도 알아야 합니다. 아이에 따라 수학적 능력이 달라 차이가 나므로 몇 살부터 이해할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6-7세 정도 되면 돈을 이용하여 몇 백원, 혹은 몇 천원은 알 수 있습니다.일찍 알게 하고 싶으면 어릴 때 부터 부모가 놀이처럼 가르치시면 좋습니다. 아이에게 학습처럼 공부하라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늘 수 개념을 알게 하면 좋습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5층을 누르면 손가락으로 하나, 둘, 셋 이라고 세면서 5개의 손가락이 숫자 5임을 알게 하세요.마트를 가서 과일을 사면서도 하나, 둘, 셋 이렇게 아이와 세어보세요. 집에서 장난감을 정리하면서도 하나, 둘, 셋....세어 봅니다.일상에서 반복적으로 수개념을 인지하면서 일의 자리에서 백의 자리, 천의 자리로 수개념을 확대해 가시면 좋습니다.
Q. 아이가 애착인형 놓을 생각이 없는데 어떻게하죠?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36개월 까지는 애착물건에 집착을 하는 시기 있니다. 하지만 일정한 나이가 되었는데도 애착인형에 집착을 한다면 정서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가 그러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정서적인 부분에서 편안함을 찾는 대상이 부모가 아니라 애착인형이라는 것입니다.애착 인형에 대한 집착을 서서히 줄일 수 있도록 부모님이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늘리고, 아이에게 최대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상황에 변화가 없는지 불편한 점이 없는지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그리고 애착인형을 강제로 뺏거나 몰래 버리시면 안됩니다. 이럴 경우 상실감으로 분리불안 증세가 심해집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시간이 걸리지만 자연스럽게 애착인형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믿고 기다려 주셔야 합니다."엄마, 아빠는 항상 네편이야" " 너는 우리의 소중한 아이야 " 등의 말로 항상 아이에게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하시고 머리를 쓰다듬거나 , 꽉 안아주는 등 신체적, 언어적 표현을 아낌없이 해 주셔야 합니다. 그렇게 해서 애착인형이 아니라 부모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찾도록 노력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