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5월 5일 작성 됨
Q.
아기가 책을 보는게 자폐증상일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이 걱정이 되시면 아이의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자폐아동 판단 유무는 호명반응. 눈맞춤. 반향어. 상동행동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책을 보고 있을 때 아이의 이름을 불려보세요. 이름에 반응을 하는지 확인하세요. 그리고 엄마와 눈맞춤을 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상동행동은 의미없는 행동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몸을 앞뒤로 흔들기. 손 비틀기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반향어는 상대방의 말을 무조건 따라하는 경우인데 말을 하지 못하는 9개월인 자녀에게는 테스트할 수가 없습니다. 불안하고 걱정되실 경우 호명 반응과 눈맞춤으로 테스트해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5일 작성 됨
Q.
아이돌에 푹빠져버린 6학년 딸을 대할때 아빠로써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춘기 딸이랑 친해질려면 딸의 아이돌 사랑도 이해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 그러냐. 그만하라고 이야기 한다고 해서 따님이 그만 두지 않을것이며 부모와 사이는 점점 멀어지게 될 것입니다. 부모님은 자신을 이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며 점점 부모에게 솔직하게 말하는 것을 줄이게 됩니다. 반대해도 교정되지 않는다면 차라리 자녀와 함께 아이돌에 대해 이야기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아하는 이유나 가장 좋아하는 노래 등을 물으며 이해해 주고 공감해 주면 과하다 싶을 때 대화로 조절해 주어도 아이가 부모 말을 듣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5일 작성 됨
Q.
떼쓰는 아이의 올바른 육아방법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문제행동을 고치려면 일단 문제행동을 해봤자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해줘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울고 떼쓰며 요구하는 것은 절대로 들어주지 말아야 합니다. 이 원칙을 직접 시행하기 전에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기 요구를 늘 들어주던 부모가 어느 날 갑자기 태도를 바꾸면 아이는 그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더 심하게 떼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규칙을 정하면 아이가 자기 행동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고, 그런 결과가 나온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아이가 울고 떼쓰는 것을 그대로 두고 보기 힘들다면 그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방으로 들어가거나 밖으로 나가면 아이도 떼쓸 대상이 없어지기 때문에 문제행동을 멈출 것입니다.아이에 따라 물건을 던지는 경우가 있는데 반드시 아이가 스스로 치우게 하셔야 합니다.평소 친절하게 대해주고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때는 단호하게 대하셔야함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놀이
2023년 5월 5일 작성 됨
Q.
유아기때의 놀이는 교육이라고 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아기때는 놀이를 통해 사회성도 형성되고 두뇌계발도 되며 배려와 양보도 배우게 됩니다. 따라서 유아기 놀이는 바로 교육이며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이의 오감이 발달될 수 있는 놀이. 소근육이 발달될 수 있는 놀이. 사회성과 배려를 배울 수 있는 놀이 위주로 해 주시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5일 작성 됨
Q.
아이가 ADHD일 때 부모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ADHD 진단을 받으면 반드시 전문병원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ADHD 는 나이가 어릴수록 치료 효과가 좋으며 꾸준하게 치료하시면 많이 호전됩니다. 치료시기를 놓치거나 꾸준히 하지 않아 더 심해지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가 타인에게 공격성을 나타내지 않도록 지도해 주셔야 합니다.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힘듦이 자주 발생되게 되므로 부모님이 자녀를 잘 이해주시고 자존감이 낮아지지 않도록 잘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치료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놀이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아동과 영상 본 후, 영상 내용에 대해서 토론법도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영상보는 것을 좋아하니 안 보여주게 되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니 좋아하는 활동을 하면서 교육적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 좋은것 같습니다. 확산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하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친구 사귀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친구들과 있을때 소극적이 되는 것은 친구에게 거절 당할까 두렵고 겁이 나서 입니다.부모와 함께 가정에서 친구를 대하는 법이나 상황에 맞는 대화를 역할놀이처럼 연습을 많이 시켜주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누구나 새로운 사람과 이야기를 처음 할 때는 겁이 나서 용기가 필요함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항상 부모가 도와줄 것이니 염려하지 말라고 해 주시고 친구들과 놀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아이의 언어 발달 교육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끊임없이 아이와 소통하는 것이 좋습니다.수다스러운 부모 밑에 자란 아이가 언어가 발달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묻고 답하게 하거나 아이의 질문에 답해주는 식으로 소통을 많이 하시고 동화책을 많이 읽어 주세요. 책 한권을 읽으면서 아이에게 동화책에 대해 소통을 많이 하세요
유아교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자식들은 몇살부터 언어교육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만 3-4세에 한글을 가르치기 시작합니다. 더 빠른 나이라도 아이가 한글에 관심을 보이면 더 빨리 교육해도 됩니다. 외국어 교육은 부담없이 노출시켜 준다면 만 2-3세나 그 이전부터 시작해도 됩니다. 단 교육이 아니라 흘려든기 처럼 자연스러운 노출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육아 교육은 어떤식으로 교육을 해야 하는지 궁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거부감이 들지 않게 놀이처럼 해 주시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결과에 욕심을 부리기 시작하면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므로 부모의 느긋한 마음도 중요합니다. 아이의 교육 속도도 부모가 잘 조절해 주셔야 합니다.아이가 잘 따라오는 날은 교육량을 늘리시고 잘 못따라오는 날은 교육량을 줄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칭찬과 격려입니다. 결과칭찬은 독이 되니 과정을 칭찬하셔야 하며 잘 못할때는 격려를 통해 아이가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해 주셔야 합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