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11월 18일 작성 됨
Q.
사교성이 없는 아이를 친구랑자연스럽게 어울리게하는 노하우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평소 부모님이 아이의 사소한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시고 반응해 주시며 칭찬과 격려를 듬뿍 해 주셔서 아이의 자신감을 높여 주세요. 그리고 부모님과 역할놀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다가가는 방법이나 친하게 노는 방법을 연습시켜 주세요. 그리고 아이와 많이 놀아주셔서 사귀는 연습을 많이 시켜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1월 18일 작성 됨
Q.
8개월 아기가 우롱차가 들어있던 찻잔을 핥았어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이는 2.5mg 을 체중으로 나눈 양 정도의 카페인을 섭취해도 괜찮습니다. 설명하신 내용으로 살펴보면 그릇에 묻어있는 정도만 핥은 것 같고 카페인양이 적어보이니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육아에서 체벌을 허용하는 범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체벌을 통한 훈육은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공포심과 분노심만 유발하게 됩니다. 체벌을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는 부모의 말을 듣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아이가 자라면서 부모에 대한 반발심이 생기게 되므로 체벌을 통한 훈육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허용되는 체벌의 범위는 없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자기스스로 공부할수 있게 알려주고 싶은데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요일별로 해야할 숙제나 공부를 할일 리스트로 작성한 후 매일 스스로 체크하게 해 보세요. 그리고 부모는 하루중 정해진 시간에 해야 할 공부를 다 했는지 확인해 주신후 스티커나 작은 보상을 주시면 스스로 하는 습관이 형성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입학시 핸드폰을 사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1학년 아이에베 연락을 위해 스마트폰을 사주게 되면 게임이나 유튜브와 같은 영상노출로 인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걱정과 염려가 생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맞벌이 부부의 사정으로 인해 연락을 취할 수단이 필요하시다면 게임이나 유튜브가 불가능한 폰으로 구입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 눈 너무 심하게 깜빡거리는 것도 일종의 버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지속적으로 눈을 깜빡이는 증상을 보인다면 틱 장애의 일종입니다. 틱 장애 증상 중 눈깜빡임이 있으며 약물치료를 통해 개선이 가능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아이 사교육비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 저학년의 경우는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예체능 위주의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고 고학년으로 올라가면 학업 위주의 교육을 시키는 것이 효율적입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와 대화를 통해 학원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아이를 타이를 때 지켜야 할 원칙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제일 중요한 것은 부모의 감정을 아이에게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를 교육시키는 것이 초점을 두셔야지 부모가 아이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한 화를 아이에게 내는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하면 부모가 화가 나고 화풀이처럼 화를 내면 절대 안되고 잘잘못에 대해 가르쳐준다는 생각으로 차분하게 이야기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 교육은 일관되어야 하며 지속반복 되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1월 16일 작성 됨
Q.
7살 아이가 화가나면 문을 쾅닫고 들어가는데 좋은 교육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분노, 슬픔, 화남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대로 교육시켜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연습시켜 주세요. 그리고 말로 표현시 먼저 공감해 주세요. 그런 후 아이와 함께 해결방법을 찾아보시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우리 집이 이렇게 힘든건 다 자기때문이라고 아이가 생각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집이 힘든 것이 본인탓이라고 생각하게 되면 자책감과 죄의식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 부정적감정은 아이를 위축되게 만들고 부담감을 줄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이야기를 잘 하셔서 아이탓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