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이진광 전문가
등단시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절치부심이라는 고사성어의 의미와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절치부심이란 말은『사기』의 형가 열전에서 유래했고 진왕을 암살할 임무를 맡은 형가가 진에서 연으로 망명해 온 번오기에게, 진왕에게 복수를 하려면 그의 목이 필요하다고 하자 번오기는 “此臣之日夜切齒腐心也,[三]乃今得聞教!”라 답을 하였습니다
미술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대문앞 같은 곳에 '입춘대길'이라는 글귀를 붙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봄이 시작되었으니, 크게 길하고 경사가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의미 이 뜻이기 때문에 부적과 비슷한 것입니다
역사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무기는 활과 창 칼이 포가 전부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총부대가 있었습니다석궁 등 활 종류가 약 20종류가 넘습니다칼의 종류도 한12가지가 됩니다창 방패도 여러종류가 되고새총같은데 돌멩이 던지는 부대도 있었어요
역사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남자측의 과실로 인한 이혼이 가능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http://www.mknews.kr/view?no=23112이 자료에 보는 것처럼 당시는 유교 사회라 여성의 법적인 지위가 없었기 때문에 남자의 과실은 남자가 불구로 자식을 낳지 못하는 이상은 웬만해서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음악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불협화음을 내세운 클래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네오 클래시컬 메탈이 클래식 음악을 메탈식으로 연주하거나 편곡한 것이라고 ... 밴드 이름 그대로 불협화음(Cacophony)을 이용한 절묘한 하모니가 있습니다 ㅎ
역사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인도인들이 손으로 식사를 하게 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또한, 오른손의 각 손가락은 자연의 다섯 요소를 의미한다고 믿는다 식사를 하는 것은 자연을 하나로 연결해 음식을 먹는 하나의 의식이 되는 것이다.
미술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미래에는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도 돈을 사고 팔릴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아직은 시기가 조금 이르지만 머지 않아 ai 화가 가 생기고 그것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 직업이 생기고 그 그림들도 메타버스 같은데서 팔리겠죠
역사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축의금을 주는게 언제부터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축의금, 즉 부조는 과거 결혼잔치에 참석자가 국수 등의 음식을 들고 가던 풍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원래 결혼 예식은 신부의 집 마당에서 이루어졌기에 결혼은 마을 공동체의 잔치였으며, 품앗이 처럼 음식물을 상호 부조하는 것이 일반적인 풍습이었습니다. 오늘날 예식이 간소화되면서 음식물은 화폐로 바뀌었지요. 결혼 뿐 아니라 장례나 제례, 회갑 등의 경조사에도 현물이나 돈을 보내는 부조는 이웃이나 친지에게 도움을 주고, 자신이 큰 일을 치를 때 돌려받을 수 있어 사회적 교환으로써의 의미도 지니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역사가 가장오래된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나라(현 정부) ; 1위, 튀니지, 기원전 814년 ; 2위, 아이슬란드, 930년 ; 3위, 바티칸 시국, 1274년 ; 4위, 산 마리노, 1600년.
미술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미술관이 처음으로 생긴 곳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대적인 의미에서의 최초의 미술관 역사는 프랑스 혁명기에 국민의회가 루브르 궁을 접수한 후 이를 개조하여 중앙미술관(Musee Central des Art)으로 개관, 과거 왕족이나 귀족이 독점하다시피 한 문화재나 보물, 미술품들을 일반시민들에게 공개 하면서 시작되었다.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