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성악하는 사람들은 목을 잘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성악을 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는 목소리가 생명이기 때문에목에 좋은 차가 음료 등을 꾸준히 먹고 있으면 큰소리 내지 않기 그리고 목을춥게 하지 않기 위해서 목을 감싸는 목도리 등으로 보온에 신경을 씁니다.그리고 감기에 걸리지 않게 비타민 음료도 충분히 섭취를 해서 감기에 걸리지 않게 노력을 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세계 각국의 전통 음악 스타일은 어떻게 다른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세계 각국의 전통 음악스타일들은 다 다릅니다.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그 바탕을 가지고 음악이 되는것이기에음악에 물들어 있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앞으로 음악 시장은 디지털 음악이 장악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현재 우리나라나 세계적으로 시디 시대가 저물어 가면서 디지털 음원등이 대세이기 휴대하지 않아도요즘에는 스트리밍으로 듣기 때문에 요즘 트렌드에 맞기 때문에유행을 하게 된것 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국악에서 정악장단과 민속악 장단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 민속악 장단에는 어떤 종류의 장단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국악에는 여러가지 장단이 있습니다.말씀하신것 처럼 정악장단이 있고 민속악 장단이 있는데요주로 판소리나 산조 민요 잡가 등을 할때 장단을 사용을 하구요그리고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것이 민속아 장단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굿거리 장단에 대해 궁금한데 간단하게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굿거리 장단은 우리 국악에서 사용하는 장단으로 주로 느린 4박자를 기준으로 합니다속도는 60~70정도로 하는것이 대부분이고흥겹게 리듬이 되는것이 특징 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음악 치료가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현대 사회에 활동하는 사람들 역시도 많은 사람들의 스트레스나 여러가지 정신적인 문제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음악치료를 통해서 심신안정과 정서적 안정등을 유지 하기 때문에 음악치료가 심리적으로도 좋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지휘자는 악보를 다외워서 지위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지휘자 분들 같은 경우는 지휘를 하는 악보를 어느정도는 다 숙지를 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물론 디테일한것을 역시도 표시를 해서곡이 얼마나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하느냐 다르긴 하겠지만요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판소리의 어떤 특징 때문에 종합예술이라는 평가를 받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판소리는 서양음악처럼 음악 만을 하는것이 아니라판소리에서 하는 음악과 내용을 중요하시는 문학그리고 몸짓과 표정으로 하는 연기 같은것이 어우러져서 판소리를 하기 때문에 종합예술이라는 평가를 받는것 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동양음악에서 오음으로 궁상각치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것 처럼 학교에서 배우긴 햇지만궁강각치우라고만 생각이 나는것이 당연할수 있습니다.서양음악에서 계이름이라고 하는것이도레미파솔라시도가 있다면 국악에는 궁상각치우 즉서양음악에서 말하는것은도레미솔라를 이야기 하는것입니다.그런 5음계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노래를 부르는 데 음을 어떻게 높이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고음을 내는것은 호흡법이나 발성법으로 충분히 고음역대까지 소리를 내는것이 가능 합니다.물론 급격하게 음을 올리거나 하는것을 하게 되는 경우 성대결절이 될수 있기 때문에서서히 올리는것이 좋구요음의 높이는 내가 가지고 태어난 음역대에 따라서 많이 달라집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