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왜 유명한 음악가들은 작곡할때 어렵게 작곡을 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가들이 작곡을 할때 음표를 어렵게 하기 보다는 머릿속에 있는 음악을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거기에 맞는 음표나 여러가지 기호등을 사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생각 보다 많은 음표들이 사용이 되다 보니음악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보기에는 엄청나게 어렵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 입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교향곡과 협주곡에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교향곡과 협주곡은 오케스트라를 동원해서 같이 연주를 한다는것이다 보니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오케스트라와 주를 이루는 (솔로파트)가 무대에 서있는것이 협주곡이고오케스트라 연주만 하는것은 교향곡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그리고 교향곡은 대부분 4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는게 많고협주곡은 대부분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음악과 연관된 국가 자격증이나 민간 자격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과 관련된 국가 자격증이나 민간 자격증이 당연히 있습니다.대학을 다니거나 대학원을 다니면 교원 자격증은 물론이고 음악치료에 관한것도 할수 있을뿐더러국가자격증으로는 문화예술교육사나 무대 예술전문인등이 있습니다.그 외에도 음악 관련 자격증으로는 악보편집사나 아동음악교육지도사 합창지휘자 등등이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클래식음악은 전공을 해야만 배울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클래식 음악은 그냥 우리가 편안하게 대중가요 듣는것 처럼 들으시면 됩니다.클래식 역시도 그 당시에 유행하던 음악들이기 때문에너무 어렵게 생각 안하셔도 됩니다..듣다 보면 거기에서 궁금한것들도 생기고 이 클래식 음악이 어떻게 탄생을 했는지 어떤 기법을 썼는지등등을 알수 있기 때문에 전공하지 않아도 충분히 괜찮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음악회나 연주회에서 관객이 지켜야 할 매너와 예의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요즘 우리나라 사람들도 연주회나 공연 같은곳에 매너를 지키는 분들이 많아져서공연 관람이 아주 좋아졋습니다.하지만 아직까지도 핸드폰을 꺼두지 않고 진동이나 소리로 해 놓아서분위기를 망치는 경우가 있고불법촬영이나 이야기 등으로 좋지 않는 매너가 아직 있어서 조심하셔야 합니다.그리고 악장과 악장을 넘어 갈때는 박수를 치지 마시고 전 악장이 끝난후에화답을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의 대표 곡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하이든 같은 경우는 정말 많은 곡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교향곡을 대표적으로 유명하다고 볼수 있습니다.그리고 현악4중주나 피아노소나타 , 오라토리오, 오페라, 첼로 협주곡, 실내악등이 있지만그중에서 가장 유명한곡은 아마도 '놀람 교향곡'이 아닐까 싶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악기중에 가장 비싼악기는 얼마고 어떤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전세계적으로 가장 비싼 악기라고 하면말씀하신것 처럼 바이올린이 가장 비싼 악기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1720년 경에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제작한 바이올린인데요한화로는 대략 200억 정도로 추산 합니다.그 당시에 제작이 되었을때 나무들이 조금은 추웠던 시기라서 나무자체가 조직이 튼튼하고 빠르게 자란 나무와 다른 조직을 가지고 있어서그 당시에 나무로 만든 악기들이 음질이 좋습니다.그래서 비싸게 거래가 되고지금은 몇대 남지 않아서 더 그렇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피아노 조율사의 경우 절대음감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선은 피아노 조율 같은 경우는 당연히 음감이 좋아야 하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결론적으로는 절대음감이 없어서 가능하구요충분히 훈련으로 음감을 기를수 있습니다.그리고 요즘에는 기계로 측정해서 하는경우가 있긴 하지만대부분 귀로 하는것이 훨씬 더 빠릅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음악에서 코드란 무엇이며, 작곡가들이 작곡할때 코드도 같이 만들어야 하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에서 코드라는것은 그 음에 어울리는 화음을 이야기 합니다.화음(코드)은 그 근음(베이스)에 따라서 음악적으로 흘러갈수 있게진행이 되게 하는것이기 때문에 코드가 절대적으로 필요 하고 거기에 맞는 화음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음악은 코드(화음)안에서 진행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음악
2024년 10월 6일 작성 됨
Q.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왜 음악의 아버지로 평가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유는현재의 클래식 음악이 완전히 정착되지 않고 불안정한 상태이였을때다양한 장르는 물론이고 다른 악기 등등 여러가지 음악을 고르게 작곡을 하였고12음계를 사용하여서 전혀 시도하지 않았던것들까지도 하였습니다그리고 현재 확인된 작곡된 곡들만 있어도세상에 음악이 사라진다고 해도 바흐곡만 있으면 다시 시작 할수도 있다라고이야기를 할 정도로 활동 영역이 넓고 대단해서아버지 같다고 해서 지어진것 입니다.
236
237
238
239
2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