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사 이조전랑이라는 것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조전랑은 이조의 하급관리 천거의 핵심자리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5품의 정랑과 6품의 좌랑을 통칭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하급관리의 천거, 재야인사의 천거는 물론 삼사의 청요직 인사등용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삼사는 조선시대 언관직으로 신하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기관으로 왕권을 견제할 수 있는 기관이었습니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말하는데 각각 감찰, 간언, 자문 등의 역할을 했으며 이 기관에서 일하는 것이 3정승 등 고위직 승진의 코스로서 인기가 많은 곳이었습니다. 이 삼사에 진출하려면 이조정랑의 추천이 중요했으므로 붕당 싸움의 핵심이자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자기 붕당 인사를 3사에 등용하러면 자기 붕당 사람을 이조전랑에 앉히는 것이 중요했습니다.이조전랑은 후임자 추천권도 갖고 있어 붕당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Q.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은 어떤 활동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0년대와 1970년대 우리나라는 급속히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인구가 농촌을 떠나 도시로 유입되었습니다. 도시생활과 농촌생활에 있어 양극화가 심화되어 나타난 운동이 바로 새마을운동입니다. 새마을운동은 산업적 의미보다는 농촌생활개선과 의식향상 운동이었습니다. 농촌도로정비, 화장실 정비, 주택 정비 등이 이루어지고 농촌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저곡가, 저임금에 기반한 산업생산, 수출 중심의 구조는 바뀌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