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이형민 전문가
영남대학교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나무에서 떨어지는 물은 어떤 것인가요?
나무에서 떨어지는 물의 경우 일부는 벌레의 오줌 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대기중에 있는 수분들이 액화 하면서 나뭇잎 위에 자리를 잡는것이라고 합니다. 이는 깨끗한 물로써 먹어도 문제가 없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땅을 계속파면 물이 나올까요?
예전에 수도 시스템이 정립되지 않았을 시기에는 지하수가 흐르는 곳까지 땅을 파서 물을 만들기도 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땅을 계속해서 파게되면 물을 기를 수 있다고 하니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다리를 지을 때 지탱할 수 있는 중량에 대한 계산은 어떤 원리나 방식으로 하나요?
다리를 지을때 받는 하중을 계산하는 능력은 아주 중요합니다. 설계단계에서부터 잘못된다면 다리가 무너지면서 큰 인명피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구조역학 파트이며, 이론적으로 하중을 계산하는 방식이 많이 있습니다. 이를 대입해서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설계를 한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행기는 어떻게 길을 찾아가나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비행기를 위한 길은 하늘에는 존재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그 길들을 따라서 비행기들이 날아다니기 때문에 사고가 나는일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길이 헷갈릴 경우에는 관제탐에서 안내를 해주면 센서가 있어서 어디에서 비행기가 날아오는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소통하여서 충돌을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버뮤다 삼각지대가 별 이유없이 통행량이 많아 사고가 많은 건가요??
버뮤다 삼각지대의 경우 마치 괴담처럼 사고가 많다고 이야기가 퍼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통계학적으로 분석을 해보면 면적당 발생하는 사고율은 비슷하다고 합니다. 다만 오래전에 사고가 나면서 실종되는 사건들이 많이 있어서 사람들이 좀 더 무섭게 생각을 하는 경향이 많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자동차 그리고 비행기는 각각 양쪽에 헤드라이트
라이트의 경우 꼭 앞쪽에 두개가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승용차, 화물차, 특수 자동차의 경우 전방을 주시해줘야 되기때문에 헤드램프 타입으로 왼쪽 오른쪽 2개를 설치해놓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유조선의 경우 앞쪽에 두개를 둔다고 모든 방향을 볼 수 없으며 특히나 파도가 심해지면 원하는 곳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라이트를 설치하는 방향이나 구조가 다르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산에 유독 소나무들이 많이 심어져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 나라의 경우 산악지대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나무가 자라나기 좋은 환경으로 그당시 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합니다. 그때 소나무를 많이 심어놔서 엄청 많이 있고 사계절 푸르기 때문에 조경도 엄청 좋다고 합니다. 송화가루가 발생해서 좀 안좋기는 해도 공기 생성에 아주 좋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모가물린자리 어떻게 해야할까요?
모기가 물린 자리의 경우 손으로 건드리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일시적으로는 가려움이 없어지는것처럼 느껴지지만금방 가려움이 심해지고, 상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는 가려움을 해소해주는 약을 사서 발라주시는게 가장좋다고 합니다. 아니면 얼음과 같이 차가운것을 물린부위에 접촉 시켜주심으로써 가려움을 완화 시킬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펭귄은 왜 흰색과 검은색의 털로 덮여 있나요?
동물들의 털색깔은 상위 포식자로부터 안전하기 위해서 색깔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펭귄의 경우 심해로 들어갔을 떄는 검정색 털로 잘 안보이게 해주며 올라갔을때는 배가 위로 감으로써 보호색을 띈다고 합니다. 따라서 눈에 잘 안보이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고속도로 지하화는 문제가 없는건가요?
우리나라의 경우에 나라의 땅이 매우 좁습니다. 따라서 땅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아파트가 많이 지어지고 있는데, 고속도로의 지하화도 같은 맥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충분히 가능한 기술이긴 하지만 아주 깊이 파야하기 때문에 투자비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그 위에는 건물을 짓지 못하거나 가벼운 건물을 지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